본문

서브메뉴

살리에리를 위한 변명 : 우리가 시기와 질투, 분노와 원한... 부정적 감정에 시달리는 이유
살리에리를 위한 변명  : 우리가 시기와 질투, 분노와 원한... 부정적 감정에 시달리는 이유 / ...
내용보기
살리에리를 위한 변명 : 우리가 시기와 질투, 분노와 원한... 부정적 감정에 시달리는 이유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88569090 03180 : \135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청구기호  
181.7 나872살
저자명  
나카노 노부코
서명/저자  
살리에리를 위한 변명 : 우리가 시기와 질투, 분노와 원한... 부정적 감정에 시달리는 이유 / 나카노 노부코 ; 사와다 마사토 [공]지음 ; 노경아 옮김.
원서명  
[원표제]正しい恨みの晴らし方
발행사항  
서울 : 플루토, 2018.
형태사항  
215 p. : 삽도 ; 20 cm.
주기사항  
원저자명: 中野信子, 澤田匡人
일반주제명  
부정적 사고
일반주제명  
감정
기타저자  
중야신자
기타저자  
택전광인
기타저자  
노경아
기타저자  
사와다 마사토
기타저자  
中野信子
기타저자  
澤田匡人
가격  
\13500
Control Number  
ansan:96228
책소개  
모차르트를 죽게 했다고?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오스트리아에서 생을 마친 안토니오 살리에리(1750~1825)는 당대에는 최고 음악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자신의 음악보다 모차르트와의 관계로 더 유명하다. 둘의 관계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계기는 밀로스 포먼 감독의 1984년 영화 다. 영화에서 살리에리는 모차르트에 대한 열등감을 안고 괴로워하다가 시기심으로 인해 모차르트를 죽게 한 인물로 등장한다. 그렇게 살리에리는 시기심의 대명사가 되었다. 살리에리로서는 억울할 일이다. 실제로 살리에리가 모차르트를 죽게 했다는 건 영화적 각색일 뿐이다. 모차르트는 살리에리뿐 아니라 당대 거의 모든 음악가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타살이 아니라 자연사일 가능성이 훨씬 높다니 말이다.
진실이 어쨌든지 간에 영화를 보면서 살리에리에 감정이입된 관객들이 압도적이었을 것이다. 살리에리야말로 우리 같은 사람이니 말이다. 모차르트의 천재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지만 자신은 갖지 못한 그 재능을 지켜보자니 괴롭기 그지없고, 그 소중한 재능을 가진 자가 하필이면 그토록 한없이 경박한 사람이라니 신이 원망스럽고, 자신이 성실하게 쌓아올린 성과들을 빼앗길까 질투심을 느낀 살리에리. 누구라도 이런 상황에 닥치면 살의까지는 너무 심해도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릴 일만 남는다. 《살리에리를 위한 변명》은 억울한 살리에리를 위한 변호이자 살리에리와 다를 바 없는 우리 모두를 위한 변호를 담고 있다.

누구나 안고 살아간다
시기와 질투, 분노와 원한, 복수심, 불안, 열등감, 죄책감, 우울... 품고 있으면 무척 피곤하고 괴로운 이러한 감정을 심리학에서는 부정적 감정이라고 한다
살다보면 스스로를 긍정적인 심리상태에 놓아두기 힘들 때가 있다. 아니 사실, 편안한 상태에 있을 때보다 전쟁터 같은 마음을 애써 다스려야 하는 때가 훨씬 많다.
대놓고 갑질하는 고객 때문에 화가 나고, 자신의 공을 가로채는 직장 상사가 원망스럽다. 은근히 자신을 무시하는 동료에게 화가 나 앙갚음하고 싶다. 이렇게 나름 이유가 있을 때도 있지만, 스스로도 도저히 인정할 수 없을 때가 있다.
뛰어난 업무실적을 보이는 동료가 얄밉다. 아이 성적이 올랐다고 자랑하는 친구가 부러워 내 아이한테 화가 난다. SNS에 명품백과 고급 외제차를 자랑하는 지인을 보니 이렇게 사는 나는 한참 뒤떨어진 것 같아 우울하다. 입사시험에 합격한 친구를 축하해주고 싶지만 솔직하게는 합격이 취소되면 좋겠다. 애인이 다른 사람만 쳐다봐도 자신을 떠나버릴까 봐 두려워 일일이 감시하고 간섭하게 된다. 이런 생각을 하는 나는 옹졸하고 모자라고 나쁜 사람인가? 정도와 상황의 차이만 있을 뿐이지 이런 생각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런데 우리는 왜 이런 괴로운 감정들을 품고 사는 걸까? 인간적으로 성숙하지 않아서? 종교를 갖거나 마음을 수련하면 좀 나아질까?

자책하지 말자!
우리는 기쁨, 사랑, 우정, 용기, 자존감, 즐거움 같은 이른바 ‘긍정적 감정’만을 인정하면서 고양시키려 한다. 하지만 부정적 감정 역시 동전의 앞뒷면처럼 인간을 이루는 외면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감정이다.
뇌과학자와 심리학자가 함께 쓴 《살리에리를 위한 변명》은 부정적 감정을 올바로 이해해야 대책 없이 억누르거나 쓸데없는 자책감에 시달리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우리가 분노하고 화를 쌓아두고 복수심에 불타며, 시기하고 질투하는 것을 미성숙함이나 나쁜 성격 탓으로만 돌려서는 안 된다. 인류는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자원을 관리하고 집단의 안정을 꾀하기 위한 도구로서 부정적 감정도 필요했기 때문이다. 부정적 감정은 우리 선조가 전해준 생존도구인 셈이다.
물론 꼭 필요한 감정이라고 해도 과하면 매우 괴롭다. 생존을 위한 도구가 오히려 생존을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마음의 고통이 신체의 고통으로 드러나는 일도 허다하다. 많은 경우 나와 남을 비교하는 데서 부정적 감정을 겪게 되는데, 사생활이 광범위하게 공개되어 있고 관계의 밀도가 높은 현대사회에서는 더더욱 부정적 감정에 시달리게 된다.

부정적 감정에는 생존을 위한 나름의 기능이 있다!

?시기 “남의 것을 탐내지 않으면 내것을 얻기도 힘들다.”
?질투 “내것을 속수무책으로 빼앗기면 살아남기 어렵다.”
?분노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회복의 방법이다.”
?원한 “분노를 쌓아두면 원한이 된다.”
?복수 “제재가 없으면 집단의 안정을 유지할 수 없다.”

《살리에리를 위한 변명》에서 저자들이 전하고자 하는 것은 부정적 감정의 긍정적 존재이유다. 예를 들어보자. 우리는 왜 시기하는가? 남의 것에 욕심을 내지 않으면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가 없다. 무엇을 갖고 싶은지 알 수 없는 나는 무언가를 얻기 힘들다. 우리는 왜 질투하는가? 내 자원을 속수무책으로 빼앗기면 생존이 어렵다. 우리는 왜 분노하는가? 상처를 입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치유하기 위해서다. 우리는 마음이든 육체든, 크든 작든 상처를 입으면 화가 난다. 특히 분노는 자존심이 상처 입었을 때 치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치유가 원활하게 되지 않으면 곪거나 원한이 된다. 우리는 왜 복수를 꿈꾸는가? 집단의 힘으로 생존해온 인류에게 집단의 구성원을 제재할 방법은 살아남기 위해 꼭 필요했기 때문이다.

뇌과학과 심리학이 보여주는 우리 감정의 또다른 풍경
《살리에리를 위한 변명》의 저자들은 부정적 감정이 없어야 훌륭한 인간이라고 설교하지 않는다. 그저 살아있는 존재라면 살기 위해 갖게 된 필요한 여러 도구 중에 부정적 감정이 있으며, 이 점을 이해해야 도를 넘은 괴로움과 자책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심리학자인 사와다 마사토는 시기와 질투, 분노와 원한의 심리학적 근원을 설명하고 현실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소개한다. 그에 따르면 시기와 질투는 대표적인 ‘자원 관리’ 감정이다. 보통 같은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둘은 다르다. 시기심은 나도 갖고 싶지만 아직은 갖고 있지 않은 것을 남이 먼저 갖게 되었을 때 가지는 씁쓸한 감정이고, 질투심은 내가 이미 갖고 있지만 남에게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불안한 상태에서 가지는 감정이다. 또 원한과 분노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원한이란 ‘오랫동안 쌓아둔 분노’다. 또한 상대의 고의성이 드러날수록, 스스로가 상황을 제어할 수 없을수록 깊어지며 복수심에 불타도록 한다. 저자는 이러한 부정적 감정이 실제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다양한 실험과 사례를 통해 보여주며, 개인의 부정적 감정들이 모여 집단적으로는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도 소개한다.
뇌과학자인 나카노 노부코는 부정적 감정이 생길 때 뇌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준다. fMRI(뇌기능 자기공명영상) 장치를 통해 뇌를 들여다보면 시기심을 자극할 때 뇌영역 중 전방 대상피질이 활성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영역은 보상예측(의욕), 의사결정, 공감과 감동 등의 인지기능까지 전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시기심과 의욕이 서로 결부되어 ‘나도 노력해서 저렇게 돼야겠다’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남과 나를 비교하는 데서 불행의 씨앗이 싹튼다
《살리에리를 위한 변명》에서 저자들은 부정적 감정을 무조건 부정하고 외면하려는 자세는 오히려 부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어차피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습이기 때문에 우선은 인정해야 한다고 말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품고 있기는 괴로운 감정이다. 과하면 독이 된다. 이를 어떻게든 해소하려는 것도 인간으로서 자연스러운 모습일 것이다. 그래서 저자들은 책 곳곳에서 강조한다.
‘자존감을 높여라!’, ‘남과 나를 비교하지 말라!’
남과 다른 성격으로 친구 없이 외롭게 지내던 소녀는 뇌를 통해 인간을 연구하는 뇌과학자가 되었고, 뚱뚱한 외모로 집단따돌림을 당하던 소년은 인간 심리의 어두운 면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는 심리학자가 되었다. 남과 나를 비교하면서 분노와 질투, 우울과 자책에만 빠져 있었다면 이룰 수 없는 성과였을 것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대출신청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112910 181.7 나872살 참고자료실 대출가능(0) 대출가능(0)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