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 How does the brain design self-esteem?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 How doe...
내용보기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 How does the brain design self-esteem?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91842555 03400 : \20000
청구기호  
511.1813 김92ㄴ
저자명  
김학진
서명/저자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 How does the brain design self-esteem? / 김학진 지음
발행사항  
고양 : 갈매나무, 2023.
형태사항  
319 p. ; 21 cm.
일반주제명  
뇌과학[腦科學]
일반주제명  
자아 존중감[自我尊重感]
기타저자  
김학진
가격  
\20000
Control Number  
ansan:110031
책소개  
우리가 잃어버린 마음들,
삶의 과부하로 흔들리는 사람들

“자존감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왜 위태로워지는 걸까?”

타인의 시선과 내 몸의 신호 사이에서
분투하는 뇌를 이해하여 삶의 균형을 찾는 법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로 인간이 이타적 선택을 하는 신경학적 기제를 밝혀 주목받았던 사회신경과학자 김학진 교수(고려대학교 심리학과)가 이번엔 ‘자존감을 뇌과학으로 설명하는 책’으로 독자를 찾는다. 신간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는 “최신 뇌과학 연구 성과를 집대성해 자존감이라는 개념을 생물학 용어로 재정의함으로써, 불안, 우울, 중독, 분노 조절 장애 같은 자존감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과학적 접근법을 제안”하는 책이다. 널리 심리적 용어로 애용되어온 ‘자존감’을 뇌과학적 개념인 ‘자기감’과 대비해 살펴보면서, 신체가 보내는 신호와의 소통, 즉 ‘자기 감정 인식’이 마음의 자존감과 사회적 공감력을 높이는 기제를 밝힌다.
“쏟아지는 정보와 복잡한 사회 관계망 속에서 정신적 문제로 고통받는 사람과 위태로운 사건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우리 뇌와 몸에 설계된 자존감 회복 시스템으로부터 대안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귀하고 반갑다”(이대열, 존스홉킨스대 신경과학 및 뇌-심리과학과 교수)는 추천의 말처럼, 오늘날 자존감 불균형의 근원을 최신 뇌과학으로 찬찬히 설명하며 균형 잡힌 삶으로 친절하게 안내하는, 시의적절하고도 유용한 ‘자기감 수업’이 되리라 기대한다.

1부 ‘자존감에서 자기감으로’에서는 자존감이 형성되고 발달하는 과정을 살펴보기에 앞서, 자기감의 생물학적 기원을 설명하며 우리 뇌의 생존 전략인 알로스테시스 기능을 소개한다. 문제는 생명체가 생존 유지를 위해 신체 항상성을 조율하는 이 생체 기능이, 오히려 과도하게 작동하다가 과부하가 걸려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는 점이다. 이에 2부 ‘뇌가 자존감을 방해하는 방식’에서는 우리가 자존감 불균형에 이끌리는 기제를 살펴보며, 우울증이나 분노 조절 장애 같은 알로스테시스 과부하의 다양한 양상들을 들여다본다. 마지막으로 3부 ‘감정을 직면하는 뇌’에서 저자는 이런 불균형을 제때 감지하는 방안으로 ‘자기 감정 인식’을 권하며, 건강한 자기감을 유지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기울이면 좋을지 뇌과학 관점에서 제안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대출신청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127343 511.1813 김92ㄴ 참고자료실 대출가능(0) 대출가능(0)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