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니체 (현대성의 위기와 미래철학의 과제)
니체 (현대성의 위기와 미래철학의 과제)
저자 : 양대종
출판사 : 이른비
출판년 : 2021
ISBN : 9791197014864

책소개

니체는 인류 최대의 병을 ‘인간의 왜소화’라 진단하고, 그것이 유럽 전역을 뒤흔든 현상을 숙고하며 자기 철학의 토대로 삼았다. 그의 철학은 유럽에 도래한 허무주의를 직시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데 모아졌다. 또한 그는 전통 형이상학과 선악에 기초한 기독교의 도덕이 현대성이 가져오는 크고 깊은 문제를 제대로 포착하지도, 따라서 해결하지도 못하리라는 것을 예감하고 대안을 준비했다. 그는 이 옛 도덕을 타파하는 것에 인류의 미래가 걸려 있음을 일생에 걸쳐 알리려 노력했다. 죄와 책임이라는 기존의 도덕에서 벗어나기 위해 니체는 생기의 필연성과 현존재의 순진무구함을 밝히려 했다. 그는 책임을 느끼는 새로운 방식을 모색하고 자신의 책임 영역을 자발적으로 넓혀 나간다. 더불어 자신의 자유의지를 지배할 수 있는 고상하고 주권적인 개인을 이야기한다. 간난한 인간화 과정의 정점에서 옛 가치들의 반생명성을 자각하고, 새로운 가치를 약속하고 책임지는 ‘주권적 개인’을 육성하는 것이야말로 미래철학의 과제로 보았던 것이다. 이 책은 니체 학자인 저자가 니체를 이해하는 핵심 주제들을 고찰하여 그 사상의 전모를 그려보려 한 것이다. 병고와 가난으로 점철된 니체의 생애가 글로 드러난 그 사상에서는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오히려 거기에는 강장한 정신이 호령하고 있다. 저자는 우선 니체의 정신이 그 인생을 다 바쳐 가리킨 지점을 바라보고자 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니체는 인류 최대의 병을 ‘인간의 왜소화’라 진단하고, 그것이 유럽 전역을 뒤흔든 현상을 숙고하며 자기 철학의 토대로 삼았다. 그의 철학은 유럽에 도래한 허무주의를 직시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데 모아졌다. 또한 그는 전통 형이상학과 선악에 기초한 기독교의 도덕이 현대성이 가져오는 크고 깊은 문제를 제대로 포착하지도, 따라서 해결하지도 못하리라는 것을 예감하고 대안을 준비했다. 그는 이 옛 도덕을 타파하는 것에 인류의 미래가 걸려 있음을 일생에 걸쳐 알리려 노력했다. 죄와 책임이라는 기존의 도덕에서 벗어나기 위해 니체는 생기의 필연성과 현존재의 순진무구함을 밝히려 했다. 그는 책임을 느끼는 새로운 방식을 모색하고 자신의 책임 영역을 자발적으로 넓혀 나간다. 더불어 자신의 자유의지를 지배할 수 있는 고상하고 주권적인 개인을 이야기한다. 간난한 인간화 과정의 정점에서 옛 가치들의 반생명성을 자각하고, 새로운 가치를 약속하고 책임지는 ‘주권적 개인’을 육성하는 것이야말로 미래철학의 과제로 보았던 것이다. 이 책은 니체 학자인 저자가 니체를 이해하는 핵심 주제들을 고찰하여 그 사상의 전모를 그려보려 한 것이다. 병고와 가난으로 점철된 니체의 생애가 글로 드러난 그 사상에서는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오히려 거기에는 강장한 정신이 호령하고 있다. 저자는 우선 니체의 정신이 그 인생을 다 바쳐 가리킨 지점을 바라보고자 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내면서
서문 | 시포 마타도르

제1장 황금의 중간길 찾기
1. 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니체 읽기
2. 니체의 정의 감각
3. 양심의 문제: 어떻게 정의가 가능한가
4. 정의로운 인간: 이상적인 인간
5. 정의는 신념의 적
6. 독단적 신념이 생기는 이유: 정신의 태만
7. 정의: 정신의 엄격함과 유연성을 결합하는 기술
8. 진리의 문제
9. 어디로 얼마나 가야 할까
10. 정신의 세 가지 변화에 대해

제2장 힘의 균형 원리로서 사회철학적 정의론
1. 고전적인 정의 개념
2. 권리는 어디서 나오는가
3. 정의의 사회 역학적ㆍ정신적 차원
4. 정의: 정신의 역동적 태도
5. 정의 추구의 철학적 차원
6. 정의의 해체: 관대함
7. 다른 테마들과의 연관성

제3장 인식 너머 전체 현상으로서의 생명 이해
1. 인식을 발명한 동물에 대한 우화
2. 전체적 생명에 통합되는 인식충동
3. 총체적 생명
4. 생성과 변화로서의 생명

제4장 진리 개념의 양가성
1. 들어가는 글
2. 니체 철학에서 나타나는 진리 개념의 양가성
3. 생성과 생명의 세계
4. 형이상학적 진리에 대한 비판
5. 심연과 마주해 철학하기

제5장 주권적 개인을 기르는 참된 교육
1. 들어가는 글
2. 쇼펜하우어의 교육론
3. 민주주의와 국민교육 비판
4. 교육은 길들임이 아니다
5. 선발된 개인, 위대하고 영원한 일에 적합한 사람들을 위한 교육
6. 인간 유형의 향상과 지속적인 자기극복
7. 니체 교육론의 심층적 차원
8. 나가는 글

제6장 정동(情動)으로 살펴본 생리학적 인간학
1. 세심한 관찰을 통해서만 보이는 것들
2. 힘에의 의지: 생기의 보편적인 근본 추동력
3. 정동의 지배구조인 몸(Leib)의 실마리를 따라서
4. 무의식과 의식
5. 정동의 승화와 육성 가능성
6. 고양된 문화의 과제: 힘 속의 이성을 본능이 되도록 양육하기

제7장 허무주의의 심연을 건너는 가치 창조의 길
1. 이제 아무도 피라미드를 건축하지 않는다
2. 문제의 발단: 신의 죽음
3. 니힐리즘의 양가적 성격
4. 주권적 개인
5. 자신만의 이상을 설계하고 실현하기

제8장 철학적 자기 치유로서의 가치전도
1. 위대한 일은 단번에 성취되지 않는다
2. 관점 변화: 고통과 치유의 변증법
3. 사고실험의 극점에서: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
4. 생명나무에 달린 인식의 열매

제9장 여성적 모티브로 여는 존재의 개방성
1. 니체의 여성관: 꺼림과 끌림의 사이에서
2. 루머와 에피소드
3. 숙명적인 정신의 화강암: 성적 본성의 인정
4. ‘여성 자체’에 대한 니체의 몇 가지 진리
5. 니체 철학의 여성적 특성

제10장 사랑을 통해서 본 현대성의 위기와 극복 가능성
1. 사랑이라는 희귀한 열정
2. 힘에의 의지로서의 사랑
3. 도덕과 기독교를 통한 에로스의 타락
4. 이기적 사랑의 승화 가능성: 가장 먼 것에 대한 사랑과 운명애
5. 진화를 꿈꾸는 자들

제11장 도덕적 인류에서 현명한 인류로
1. 책임, 현대성의 문제
2. 생성의 필연성과 실존의 무죄
3. 명령자와 입법자로서의 철학자
4. 우리 안의 짐승을 넘어서는 길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