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자아와 살 (에고-분석 개론)
자아와 살 (에고-분석 개론)
저자 : 자콥 로고진스키
출판사 : b
출판년 : 2017
ISBN : 9791187036241

책소개

바리에테 신서 20권. 자콥 로고진스키의 단행본이 한국어로 번역된 것은 처음이다. 이 책은 자아와 신체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를 해온 자콥 로고진스키의 주저라 할 수 있다. 현대 철학의 거장들의 “자아란 없다”라는 자아살해 선언에 정면으로 맞선다.



이 책에서 로고진스키가 싸우는 또 하나의 지배적인 편견은 바로 에고를 “하나의 에고”, “언제나 똑같은 에고”로 보는 사유이다. 그는 자아를 “다수의 통일성”처럼, “근원적으로 나뉘었지만 통합된 자아”처럼 보아야 하며 이 통일성이 “내게 단번에 주어진 것”이 아니라 “발생의 마지막 단계”에, “언제나 새로 다시 쟁취”해야 할 것으로 주어진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통일성”의 문제에 직면한, “분산된 수많은 에고”라는 생각으로부터 에고를 해명하는 일은 “에고-분석”이라는 명칭을 지니게 되며, 결국 문제는 로고진스키가 선언하듯 “주체화”의 문제, “재-창조”의 문제가 된다. 에고-분석은 자아의 “알려지지 않은 부분”으로, “내 안에 있는 타자”, “최초의 낯선 것”, 저자가 “레스탕(restant)”이라고 부를 것으로 우리를 이끌게 될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현대 철학과 정신분석학이 지배해온

에고살해를 끝낼 때이다



도서출판 b에서 자콥 로고진스키(Jacob Rogozinski)의 을 펴냈다. Le moi et la chair(2006)를 완역한 것이다. 저자의 단행본이 한국어로 번역된 것은 처음이다. 이 책은 자아와 신체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를 해온 자콥 로고진스키의 주저라 할 수 있다. 현대 철학의 거장들의 “자아란 없다”라는 자아살해 선언에 정면으로 맞선다.



후설, 하이데거, 메를로 퐁티, 앙리, 데리다, 라캉… 현대 사유의 광범위한 영향 속에서 자콥 로고진스키는 자신의 문제의식에 대한 해법을 찾아 나간다. 그 문제의식의 중심에 철학의 오랜 숙제, ‘에고’가 있다. 데카르트 코기토 이래로, 곧 “절대 에고”의 확립 이래로, 에고는 역설적이게도 철학이 풀어야 할 근본 과제로 남는다. 이 역설적 상황 속에서 현대 사유는 데카르트의 문제의식을 심화하고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보다는 데카르트가 나아갔던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나아간다. 데카르트 코기토를 부정하고 에고를 제거하려는 움직임으로 나아간다. 자콥 로고진스키의 문제의식은 여기서부터 시작한다. 에고는 과연 없애야 할 환영에 지나지 않을까?

현대 사유는 자아를 없애야 할 환영으로 치부하며, 그러한 환영의 근원에 자아 아닌 다른 것, ‘대타자=X’를 상정한다. 하지만 그 누구도 내가 아닌 다른 것으로부터 나라는 확실성이 어떻게 필연적으로 생기는지 설득력 있는 방식으로 설명해내지 못할뿐더러 자아, 에고를 부정함으로써 오히려 치명적인 모순, 극복할 수 없는 난관에 부딪힌다는 것이 로고진스키의 주장이다. 그 누구도 어떻게 자아가 그보다 더 근원적인 비-자아에서 나올 수 있는지 보여주지 못함으로써 자아, 에고를 없애려는 모든 시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갈 뿐이라고 그는 말한다. 이 실패를 증명이라도 해보이려는 듯 에고를 넘어서려는 사유에 회귀하는 에고를 우리는 다시 만난다고 그는 힘주어 말한다.

현대 사유가 특히 관심을 갖고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 인간 “소외”의 문제이다. 로고진스키는 이 문제를 외면하지 않으며 이 문제에 나름의 해법을 또한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간을 “자율적인 주체”로 상정했던 근대를 지나 현대 사유는 이러한 자율성이 허구이며 인간 자아는 오히려 지배받고 소외된 존재임을 강조한다. 여기서 로고진스키는 그러나 이러한 소외가 근원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극복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를 따르면 해방의 가능성은 모든 소외 이전에 “참된 자아”를 상정함으로써만 가능하다. 이 자아는 “살아있고 단독적인 자아”이다. 매 순간 자신을 그처럼 경험하는, 그 경험에서 발원하고 그 경험과 하나를 이룰 뿐인 자아가 문제이다. 이 자아를 묻고 해명하는 일이 데카르트를 다시 읽는 것으로 시작해서 “에고-분석”이란 명칭 아래 이 책이 행하는 것이다.

에고를 없애려는 움직임, 그 움직임의 핵심에, 현대 사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현대 사유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두 사상가, 하이데거와 라캉이 있다. 이 책은 먼저 이 두 거장을 소환해 비판에 회부한다. “에고 제거”, “에고 파괴”라는 결과에 이르게 되는 그들의 주장과 분석이 정당한지 이 책은 묻는다. 그들의 주장이 오히려 데카르트 사유를, 아니 그 이전에 먼저 ‘자아 그 자체’를 깊이 오해한 데서 생긴 것은 아닌지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의문, 나아가 비판은 하이데거와 라캉을 넘어, 이 책이 분석 대상으로 주요하게 삼지 않았을지라도, 사르트르, 레비나스, 메를로 퐁티, 들뢰즈, 데리다와 같은 현대 사유의 다른 거장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어째서 에고를 해명하는 일이 ‘분석’이라는 방법을 통해 행해질까? 어째서 에고는 분석의 대상이 될까? 이 책에서 로고진스키가 싸우는 또 하나의 지배적인 편견은 바로 에고를 “하나의 에고”, “언제나 똑같은 에고”로 보는 사유이다. 그는 자아를 “다수의 통일성”처럼, “근원적으로 나뉘었지만 통합된 자아”처럼 보아야 하며 이 통일성이 “내게 단번에 주어진 것”이 아니라 “발생의 마지막 단계”에, “언제나 새로 다시 쟁취”해야 할 것으로 주어진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통일성”의 문제에 직면한, “분산된 수많은 에고”라는 생각으로부터 에고를 해명하는 일은 “에고-분석”이라는 명칭을 지니게 되며, 결국 문제는 로고진스키가 선언하듯 “주체화”의 문제, “재-창조”의 문제가 된다. 에고-분석은 자아의 “알려지지 않은 부분”으로, “내 안에 있는 타자”, “최초의 낯선 것”, 저자가 “레스탕(restant)”이라고 부를 것으로 우리를 이끌게 될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기 9



첫 번째 부분

에고살해에 맞서서



“EGO SUM MORIBUNDUS(에고는 죽었다)” 또는 하이데거의 부름 29

“나는 타자다” 32

“나는 죽었다(나는 죽어가고 있다)” 43

“개인은 아무 가치가 없다”[하이데거의 나치즘을 다루며] 59

존재의 십자가 70



“나는 거울 속에서 자신을 보는 죽은 사람이다” 또는 라캉의 주체 85

mouroir 단계 88

“누가 결국 내가 죽었다는 것을 알았을까?” 106

“Wo Es war, soll Ich werden(그것이 있었던 곳에 나는 생겨나야 한다)”[프로이트로 돌아감?] 120



두 번째 부분

데카르트로 돌아감



“그가 나를 속인다면, 나는 존재한다” 138

인간도 아닌, 주체도 아닌 154

“나는 길이요, 진리요, 삶이다” 160

내가 사라지는 순간 172

“Larvatus pro Deo(나는 신 앞에서 가면을 쓰고 나아간다)”[데카르트의 유산] 181



세 번째 부분

에고-분석 개론



현상학의 모호함 207

내재성의 영역 228

살의 종합: 키아슴 246

어떻게 만지는 자신을 만질까: 키아슴의 (불)가능성을 다루며 264

만질 수 없는 것의 영향 아래: 레스탕 274

이것은 내 몸이다(아니다): 체화의 레스탕 297

타인을 너머서 334

키아슴의 위기 376

증오에서 사랑으로 388

아르케-임종에서 부활로 417

해방을 향해[내자태] 447



감사의 말 477

참고 문헌 479

인명 찾아보기 491

개념 찾아보기 497



옮긴이 후기 505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