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신약성서의 내러티브 신학 (유배와 회복의 메타내러티브 탐구)
신약성서의 내러티브 신학 (유배와 회복의 메타내러티브 탐구)
저자 : 티모 에스콜라
출판사 : 새물결플러스
출판년 : 2021
ISBN : 9791161292137

책소개

본서는 신약성서 전체를 유배와 회복이라는 거대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제2성전기 유대교의 맥락에서뿐만 아니라 구약성서 전체와 연결하여 일관성 있게 해석한다. 성경을 통전적으로 이해하길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꼭 읽어야 할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기존의 “신약신학” 연구는 신약성서를 관통하는 특정한 신학적 개념을 설명하거나 신약성서 각 권의 주제를 정리하였다. 하지만 신약학자 에스콜라가 쓴 이 책은 그런 일반적인 방식을 따르지 않는다. 그는 유배와 회복의 메타내러티브가 신약성서 전체를 관통한다고 시종일관 주장하며, 그 메타내러티브가 신약성서 전체의 주요 주제와 사상과 개념을 형성시킨 모태라고 논증한다. 이것은 새로운 신약신학의 구성이다.
본서의 핵심 내용은 “회복 종말론의 메타내러티브”에 관한 것이다. 저자는 회복 종말론의 전망이 신약성서 전체에 깔려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유대교 사상에서 현저한 것이었다고 말한다. 회복 종말론은 이스라엘 백성이 유배의 고통에서 신음하고 있는 현실을 전제로 한다. 이스라엘 역사에서 기원전 587년 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해 시작된 실제 포로 생활은 약 반세기뿐이지만, 그럼에도 적지 않은 유대 전승은 바빌로니아에서의 귀환 이후에도 이스라엘의 유배 상황이 계속된다고 판정했다. 본서는 이것을 “영적 유배”의 상황이라고 부른다.
영적 유배 상황에서 회복과 구원을 염원하는 종말론적 기대가 제2성전기 유대교 사상에 편만해 있었고 이런 기대감이 정점에 달했던 때가 예수와 원시 기독교 당시였다. 당시 마지막 회복이 이미 시작되었다는 믿음은 드물었다. 로마의 지배 아래 산다는 것은 그러한 이상주의를 불가능하게 했기 때문이다. 반면, 저자는 예수가 그 회복을 시작하고 완성한 인물임을 신약성서가 증언한다고 말한다.
이렇듯 저자는 예수와 바울과 요한 및 다른 신약성서 저자들의 글을 회복 종말론이라는 핵심적 메타내러티브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곧 영적 유배 상황에서 종말론적인 해방이 예수를 통해 일어났다는 메타내러티브가 신약성서 전체의 매트릭스에 해당한다. 이러한 주장은 신약학 분야에서 매우 자주 거론되는 샌더스(E. P. Sanders)와 라이트(N. T. Wright)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하지만 저자는 자신의 주장이 신약성서를 새 관점으로 읽는 것과 차이가 있으며, 오히려 유배와 해석의 틀로 신약성서를 해석하는 것이야말로 옛 관점과 새 관점의 대립을 뛰어넘는 더 나은 성서해석이라고 강조한다.
본서는 내러티브 방법론의 중요성을 쉽게 설명하고 내러티브 분석에 따른 최근 연구 결과물들을 신약성서 전반에 충분히 적용한다. 이 과정에서 저자는 내러티브 신학이 역사비평과 모순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함으로써 방법론적 통합을 시도한다. 또 구약과 신약, 예수 및 초기 기독교와 당시 유대적 전승, 나아가 신약성서 각 책이 거대한 이야기를 모태로 태어난 연관 관계를 분명히 한다. 이로써 신약성서 각 책의 정교한 서술이 모자이크처럼 모여 거대한 그림을 완성한다. 그리고 그 그림의 중심에 “새로운 성전 건설”이라는 핵심 요소가 자리한다. 예수를 통해 도래한 회복과 구원의 요체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구성된 종말론적인 새 성전의 건축이다.
독자들은 본서를 통해 구약과 유대교 전승, 그리고 신약성서와 초기 기독교 전체를 아우르는 전망을 얻는 것은 물론이고, 신약연구 방법론, 예수에 대한 새 관점,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등 학문적 논의에 관한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성전 신학” 관점에서 신약성서 전반을 일목요연하게 보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통찰을 제공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약어표
제1장 서론
I. 내러티브 신학의 목적과 방법
1. 역사와 내러티브
2. 방법론의 변화
3. 기호론과 의미화 과정
II. 샌더스와 라이트의 도전적 가설 검증
1. 메이어에서부터 샌더스 그리고 라이트까지의 연구
2. 새로운 연구의 발전과 방향
3. 패러다임 확장에 기여한 연구: 계속된 유배와 성전 비판
III. 과제의 설정: 통합의 시도

제2장 예수의 메시지
I. 유배와 회복
1.바빌로니아 유배의 역사와 신학
2. 유배 개념의 확장
3. 회복의 패턴
4. 이스라엘의 계속된 유배 문제
5. 신정론(神正論) 주제
II. 종말론적 성전을 세우는 다윗의 후손
1. 예수의 승리의 입성과 회복에 대한 예언
2. 황폐해진 성전에 대한 거부
3. 예수의 성전 설교
4. 영적 유배의 기호들
5. 종말론적 성전에 대한 기대
III. 유배의 종결을 가져오는 환난의 시대
1. 환난의 시대의 시작: 세례자 요한의 죽음
2. 가족의 화평 주제: 아버지의 마음
3. 복음 전파를 통해 지파들을 불러모음
4. 변화의 시대
5. 예루살렘 멸망과 메시아적 묵시 사상
IV. 왕이신 하나님과 희년
1. 회복의 복음
2. 시온으로 돌아오는 왕이신 하나님
3. 메시아와 희년의 시작
4. 희년의 축복
5. 메시아의 성전으로서의 새로운 공동체
V. 근본적인 유대교 신앙의 회복
1. 쉐마 기도와 철저한 신앙
2. 산상설교: 너의 삶에 대해 근심하지 말라
3. 포기에 관한 시험
4. 씨 뿌리는 자의 비유: 이스라엘은 들었는가?
5. 첫 번째 계명을 성취하는 아바(abba)
6. 예수와 율법
VI. 제사장적 정결 공동체
1. 정결 규정
2. 새 성전의 정결
3. 안식일 준수
4. 금식 논쟁
VII. 제사장적 식사로서의 마지막 만찬
1. 피의 언약
2. 성전에서의 제사장적 식사
3. 희생제사 참여에 대한 바울의 해석
4. 환난의 마지막 희생자
VIII. 고난 받는 메시아: 예수의 정체성
1. 순교자로서의 인자
2. 구속과 대속의 속죄
3. 유배기의 타락에 대한 속죄제
4. 인자의 높여짐
5. 죽은 자의 부활

제3장 원시 기독교의 가르침
I. 부활 사건에 대한 해석
1. 서막으로서의 오순절 사건
2. 부활한 주님에 대한 초기의 고백과 믿음
3. 승귀 기독론을 위한 근거로서의 시편 110편
4. 그룹-보좌 위의 그리스도
5. 보좌 신비주의에서 왕적 기독론으로
II. 여섯 개의 기독론 내러티브
1. 다윗 가문 왕의 하늘 보좌
2. 죽음을 이기는 생명의 왕
3. 자신을 바친 고난 받는 종
4. 지성소에 들어가신 영원한 대제사장
5. 심판대의 재판장이신 메시아
6. 회복의 왕에 대한 믿음
III. 초기 기독론과 유대교 회당 예배
1. 아미다와 회복 종말론
2. 사가랴의 노래
3. 마리아의 노래에 나타난 기독론
4. 스데반과 초기의 회당 설교

제4장 신학자 바울
I. 회복 종말론 : 성취와 해방
1. 시대(ages)의 교체와 카이로스(kairos)의 성취
2. 아보다트 이스라엘(Avodat Israel)과 토라 준수에 대한 비판
3. 율법의 행위를 버림
4. 그리스도의 새로운 성전
5. 바울 그리고 유배와 회복의 메타내러티브
II. 사랑의 법에 대한 바울의 지혜 전승
1. 바울과 모세
2. 창조의 지혜로서의 율법
3. 사랑의 핵심
4. 죽음의 직분
추기: E. P. 샌더스와 언약적 율법주의 이론
III. 화해에서 십자가 신학으로
1. 희생과 대속
2. 아케다(Akedah)─모델로서의 이삭
3. 저주로서의 그리스도
4. 대표, 속전, 구속
5. 십자가에 참여하기
IV. 신정론의 문제를 해결하는 칭의
1. 유대교 위기의 신학에 대한 바울의 견해
2. 의와 신정론의 문제
3. 갇힌 인류
4. 이신칭의
추기: 새 관점과 칭의 이론
V. 디카이오쉬네 테우(dikaiosyn? theou)에서 이스라엘의 지위
1. 옛 이스라엘과 새 이스라엘
2. 하나님의 의에 복종함
3. “해로 여기는 것”의 원리
4. 회복 종말론: 온 이스라엘이 구원을 받을 것이다
VI. 바울 서신에 나타난 즉위 기독론
1. 그리스도와 고백
2. 바울과 부활하신 분
3. 왕적 통치의 기독론
4. 낮아짐과 높아짐
VII. 새로운 이스라엘을 모으는 것
1. 새로운 성전에서의 사역
2. 이방인의 사도 바울
3. 세례와 구원
4. 종말론과 새로운 세상의 창조

제5장 유대적 기독교
Ⅰ. 유대교적 기독교와 회복 종말론
1. 히브리서: 하늘 성전의 창조
2. 야고보서: 희년을 축하하는 공동체
3. 베드로전서: 하늘의 제사장직
Ⅱ. 요한복음과 요한 신학
1. 영적 유배 생활은 끝이 났다.
2. 육에 장막을 치신 영원한 말씀
3. 환난의 시대에서 새 성전으로
4. 요한1서의 심층 구조에 나타난 회복 종말론
Ⅲ. 요한계시록의 성전, 창조, 새 예루살렘
1.이스라엘 지파를 위한 해방
2. 다윗의 뿌리의 왕위 등극
3. 정원-성전(the garden-temple)을 다시 세우기

제6장 결론: 메타내러티브에서 신학으로
참고문헌
고대 문헌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