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제천의 문학과 문학지리(양장본 HardCover)
제천의 문학과 문학지리(양장본 HardCover)
저자 : 권순긍
출판사 : 박이정
출판년 : 2020
ISBN : 9791158485092

책소개

이제 정년을 맞이하여 28년의 제천 생활을 정리하면서 제천에 대한 그간 저자의 연구와 소회를 정리하여 나름대로 한 권의 책으로 묶고자 한다. 제천을 중심으로 그 지역성을 드러낸 문학이나 제천 출신 혹은 거주 문인들의 작품들과 제천의 정신을 세운 ‘의병(義兵)’을 형상화 한 소설들을 연구한 것들이다. 하여 ‘제천’을 아예 책의 표제로 내세워 〈제천의 문학과 문학지리〉로 하였다.
책은 모두 3부로 나누고 [부록]을 덧붙였다. 1부는 제천의 문학지리에 대한 본격적 논의다. 제천은 의림지와 청풍의 대립적인 상징체계를 가지고 있다. 의림지의 지리가 민(民)의 생활공간이라면 청풍의 자연은 사대부(士大夫)의 풍류공간으로 위치한다. 의림지는 임호(林湖) 박수검(朴守儉, 1629?1699)과 김이만에 의해 민의 생활공간으로서 형상이 부각되었으며, 특히 서사한시 〈어장사참사가(魚壯士斬蛇歌)〉는 그 대표 작품이다. 청풍의 자연은 옥소 권섭의 한시 및 〈황강구곡가〉를 비롯하여 수많은 ‘한벽루시(寒碧樓詩)’를 통해 사대부들의 계산풍류가 잘 드러나 있다.

2부에서는 제천을 대표하는 네 명의 고전작가인 임호 박수검,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1641?1721), 옥소 권섭, 학고 김이만과 현대 제천 출신의 소설가 강승원을 다루었다. 이들 작가들은 실상 옥소 권섭을 제외하고는 연구가 드물거나 거의 없는 실정이다.

3부는 지역과 문학의 ‘로컬리티(locality)’를 폭 넓게 다루어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지역성의 의미를 밝혔다. 고전소설에서 유난히 중국 후난[湖南]지역이 많이 등장하는 이유와 근거를 밝히고, 지리적 배경이 두드러지는 〈배비장전(裵裨將傳)〉에서 지리적 배경으로 등장한 제주도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부록]에서는 제천을 소재로 한 한시를 번역해 실었다. 옥소의 〈황강구곡가〉와 학고의 〈어장사참사가〉를 비롯하여 제천팔경과 의림지, 한벽루를 노래한 작품 중에 형상화가 뛰어난 작품을 뽑아 실었다. 지역성과 문학지리를 언급한 데서 부분적으로 다루었던 것이 많은데 온전한 작품만을 텍스트로 읽어보며 제천의 풍광을 음미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제 정년을 맞이하여 28년의 제천 생활을 정리하면서 제천에 대한 그간 저자의 연구와 소회를 정리하여 나름대로 한 권의 책으로 묶고자 한다. 제천을 중심으로 그 지역성을 드러낸 문학이나 제천 출신 혹은 거주 문인들의 작품들과 제천의 정신을 세운 ‘의병(義兵)’을 형상화 한 소설들을 연구한 것들이다. 하여 ‘제천’을 아예 책의 표제로 내세워 <제천의 문학과 문학지리>로 하였다.

책은 모두 3부로 나누고 [부록]을 덧붙였다. 1부는 제천의 문학지리에 대한 본격적 논의다. 제천은 의림지와 청풍의 대립적인 상징체계를 가지고 있다. 의림지의 지리가 민(民)의 생활공간이라면 청풍의 자연은 사대부(士大夫)의 풍류공간으로 위치한다. 의림지는 임호(林湖) 박수검(朴守儉, 1629-1699)과 김이만에 의해 민의 생활공간으로서 형상이 부각되었으며, 특히 서사한시 <어장사참사가(魚壯士斬蛇歌)>는 그 대표 작품이다. 청풍의 자연은 옥소 권섭의 한시 및 <황강구곡가>를 비롯하여 수많은 ‘한벽루시(寒碧樓詩)’를 통해 사대부들의 계산풍류가 잘 드러나 있다.



2부에서는 제천을 대표하는 네 명의 고전작가인 임호 박수검,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1641-1721), 옥소 권섭, 학고 김이만과 현대 제천 출신의 소설가 강승원을 다루었다. 이들 작가들은 실상 옥소 권섭을 제외하고는 연구가 드물거나 거의 없는 실정이다.



3부는 지역과 문학의 ‘로컬리티(locality)’를 폭 넓게 다루어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지역성의 의미를 밝혔다. 고전소설에서 유난히 중국 후난[湖南]지역이 많이 등장하는 이유와 근거를 밝히고, 지리적 배경이 두드러지는 <배비장전(裵裨將傳)>에서 지리적 배경으로 등장한 제주도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부록]에서는 제천을 소재로 한 한시를 번역해 실었다. 옥소의 <황강구곡가>와 학고의 <어장사참사가>를 비롯하여 제천팔경과 의림지, 한벽루를 노래한 작품 중에 형상화가 뛰어난 작품을 뽑아 실었다. 지역성과 문학지리를 언급한 데서 부분적으로 다루었던 것이 많은데 온전한 작품만을 텍스트로 읽어보며 제천의 풍광을 음미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내일을 향해 나아갈 ‘제천의 양산박’을 위하여|이철수
책을 내면서[自序] 제천, 그 굳센 이름으로

1부 제천의 문학지리, 그 지정학적 상상력

의림지(義林池)의 ‘문학지리’와 그 의미
1. 문제의 제기
2. 농경생활의 공간으로서 의림지(義林池)
3. 심상적 공간으로서 의림지(義林池)
4. 마무리; 의림지(義林池)의 문학지리

〈박달재 전설〉의 형성과 대중가요 〈울고 넘는 박달재〉
1. 문제의 제기
2. ‘박달재’의 역사적 유래와 〈박달재 전설〉의 허구성
3.〈박달재 전설〉의 형성과정과 〈울고 넘는 박달재〉
4.〈박달재 전설〉의 변용과 콘텐츠의 문화사적 의미
5. 마무리

박달재의 문학적 상징성과 그 활용방안
1. 문제의 제기
2. 박달재의 문학적 상징성
3. 박달재 문화자원의 활용과 전망

남한강의 문학지리와 로컬리티-호서(湖西)지역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청풍(淸風)의 문학지리-유유자적과 달관
3. 달천(達川)의 문학지리-전란의 기억, 패배의 상흔
4. 나루터의 문학지리
-관리들의 탐학과 민중들의 활기찬 삶 혹은 한(恨)
5. 맺음말

제천지역의 구비전승과 그 역사적 의미
1. 전설과 역사
2. 인색함에 대한 징벌과 삶의 비극성
-의림지 전설, 장수탑 전설
3. 민족 영웅의 좌절과 성공의 가능성-용마(龍馬) 무덤 전설
4. 마무리
충북 지역문화의 전망과 과제
1. 머리말
2. 충북문화의 특질-‘양반문화론’의 재해석
3. 21세기 충북문화의 전망과 과제
4. 맺음말

2부 제천의 작가들, 그 삶과 문학
가련한 것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임호(林湖) 박수검(朴守儉)
1. 임호의 ‘세아불합(世我不合)’한 삶
2. 가련한 것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유유자적

탈속(脫俗)과 정감-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1.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의 생애와 자취
2. 초월적 자연풍광과 따스한 인간 정감

바람 같은 삶, 그림 같은 시-옥소(玉所) 권섭(權燮)
1. 옥소(玉所), 한 마리 고고한 학(鶴)
2. 바람처럼 맑은 삶
3. 그림 같은 시

궁핍한 ‘민(民)’을 위한 노래-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
1. 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의 삶과 제천
2. 궁핍한 ‘민(民)’의 삶과 피폐한 현실의 형상화

물처럼, 불처럼, 바람처럼-고 정영상을 그리며
1. 짧은 만남, 긴 이별
2. 섬세한 손길로 빚은 ‘농부가(農夫歌)’
3. 사무치는 그리움의 ‘사모곡(思慕曲)’
4. 절망과 분노의 ‘광시곡(狂詩曲)’

물의 노래, 별의 노래, 바람의 노래-고 김시천의 삶과 시
1. 가객(歌客), 김시천
2. 흐르는 강물 대신 우리가 흘러-‘물의 노래’
3. 아, 그리운 사람이여-‘별의 노래’
4. 자유로운 바람처럼-‘바람의 노래’
5. 마침내 그리운 하늘의 별

잃어버린 세월에 대한 복원-?남한강?의 작가 강승원을 찾아

3부 지역과 문학, 장소에 각인된 문학적 심상

한국 고소설과 중국 후난[湖南]지역
1. 문제의 제기
2.〈구운몽〉과 남악 형산(南岳 衡山)
3.〈사씨남정기〉·〈춘향전〉·〈심청전〉과 동정호·군산(群山)
4.〈토끼전〉과 소상강(瀟湘江)·멱라수(汨羅水)
5. 마무리

〈배비장전(裵裨將傳)〉의 풍자와 제주도
1. 문제의 제기
2. 방자·애랑의 위치
3. 제주도민의 참여
4. 마무리

항일의병의 전개와 소설의 형상화
1. 문제의 제기
2. 개화에 역행하는 ‘무뢰지배’-〈은세계(銀世界)〉
3. 명분과 방향을 상실한 화적패-〈고목화(枯木花)〉, 〈오경월(五更月)〉
4. 의병전쟁의 낙관적 전망-〈소금강(小金剛)〉
5. 마무리

‘제천의병’의 문학적 형상화, 그 시각과 전망
1. 문제의 제기
2. 민중들의 함성이 빠진 의병장들의 갈등과 해산
3. ‘잃어버린 세월’의 흔적과 기억
4. 마무리

〈제천의병제〉 20년의 반성과 전망
1. 왜 ‘의병제’인가
2.〈제천의병제〉가 걸어온 길
3.〈제천의병제〉가 나아갈 길
4. 마무리: “다시, 팔도에 고하노라”
[부록] 제천 소재 시조·한시(漢詩)
1.〈황강구곡가(黃江九曲歌)〉|권섭(權燮)
2.〈제천팔경(堤川八景)〉|정운호(鄭雲灝)
3.〈청전팔경(靑田八景)〉|김이만(金履萬)
4.〈제천풍토(堤川風土)〉|김이만(金履萬)
5. 서사한시〈어장사참사가(魚壯士斬蛇歌)〉|김이만(金履萬)
6. 의림지시(義林池詩)|정인지(鄭麟趾) 외
7. 한벽루시(寒碧樓詩)|주열(朱悅) 외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