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생과 사의 인문학
생과 사의 인문학
저자 : 진교훈|이창익|박규태|배관문
출판사 : 모시는사람들
출판년 : 2015
ISBN : 9788997472888

책소개

국내 유일의 죽음 문제 연구소인 한림대 생사학연구소가 그동안의 연구와 강연 등을 통해 축적해 온 죽음 연구 성과를 시리즈로 기획한 「타나토스(죽음) 총서」 제1권『생과 사의 인문학』. ‘생명’의 의미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에 답하고, ‘죽음’에 대한 지역별 문화별 다양한 인식을 소개함으로써 생사학의 개념을 정립한다. 이로써 오늘날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행복한 죽음’을 위한 죽음교육의 토대를 구축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이 책은

국내 유일의 죽음 문제 연구소인 한림대 생사학연구소가 그동안의 연구와 강연 등을 통해 축적해 온 죽음 연구 성과를 시리즈로 기획한 《타나토스(죽음) 총서》 제1권이다. ‘생명’의 의미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에 답하고, ‘죽음’에 대한 지역별 문화별 다양한 인식을 소개함으로써 생사학의 개념을 정립한다. 이로써 오늘날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행복한 죽음’을 위한 죽음교육의 토대를 구축한다.

■ 출판사 서평

《타나토스 총서》, 한국 최초의 본격적인 죽음 연구 시리즈

근래 들어 한국 사회에서 죽음에 대한 학문적 담론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읽을 수 있는 것은 여전히 외국 저자가 쓴 몇 권의 번역서뿐이다. 이에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는 국내외의 다양한 죽음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수렴하기 위해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그 성과를 타나토스 총서로 출간하고 있다. 타나토스 총서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죽음문화뿐만 아니라, 세계의 다양한 죽음문화를 체계적으로 성찰하고, 한국사회에서 죽음의 의미가 역사적·문화적으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탐구하고, 이를 통해 현재 한국사회의 현안이 되고 있는 다양한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생과 사의 인문학, 죽음이 삶과 이야기하다

죽음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부딪히는 첫 번째 난관은 관련 서적의 절대적인 부족이다. 게다가 대부분의 서적은 일반 독자가 읽기에는 지나치게 지엽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거나, 아니면 특정한 종교적·이념적 편향성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이에 『생과 사의 인문학』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자들이 생명과 죽음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깊이 있게 고민하고 있는 모습을 생생하게 담고자 했다. 이 책에서 독자들은 죽음의 문제와 연관된 근본적인 기본 개념들을 대부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생명 개념의 균열, 생명에서 생존으로

이 책은 ‘삶의 인문학’과 ‘죽음의 인문학’의 총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삶의 인문학’은 생명의 문제와 관련하여 생명 윤리, 생명 개념, 생명관, 재해, 자살, 웃음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안락사 및 존엄사, 보편적인 생명 개념이 낳는 인지적 환영, 역사를 관통하는 다양한 생명관, 현대적인 재해와 재난에 의해 새롭게 발명된 죽음, 자살의 배후에 존재하는 강한 사회적 압력, 죽음이 반드시 슬퍼하고 애도해야 하는 현상은 아니라는 사실 등을 만나게 된다.

죽음의 죽음, 사라진 죽음을 어떻게 물을 것인가

제2부 ‘죽음의 인문학’은 현대적인 죽음과 전통적인 죽음에 대해 다양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죽음이 사라진 현대 사회의 적나라한 자화상, 대화하기 위해 삶 속으로 죽음을 부르는 무속의 모습, 죽음 이후에 대한 인도인의 상상력, 티베트의 죽음관에 미친 자연적·문화적 영향들, 불교에서 좋은 죽음의 문제, 기독교의 죽음 이해 등을 만나게 된다. 우리는 죽음의 개념이 하나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인간이 만나는 죽음의 모습은 삶의 모습만큼이나 다양하다. 우리는 역사적으로 사람들이 무수히 많은 서로 다른 죽음을 죽었다는 사실을 통해, 현대인을 옥죄는 ‘하나의 아프고 슬프고 두려운 죽음’의 문제를 재성찰할 필요가 있다.

건강한 죽음 문화의 구축

“이제 우리는 죽음을 인식의 언어에 실어 펴기보다 고백의 언어에 실어 펴야 할지도 모릅니다. 죽음에 대한 실증적인 사실을 연구하고 제시하고 가르치기보다 죽음을 자기에게 정직한 언어로 고백하게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죽음을 개념에 담아 논리를 좇아 진술하게 하기보다 삶의 자리에서 스스로 고백한 죽음을, 그리고 죽음의 현실을 마음껏 상상하며 살도록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게 하는 일이 ‘건강한 죽음 문화의 구축’을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일지도 모릅니다.” (정진홍, 「죽음 문화의 그늘: 편의주의」 중에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부 삶의 인문학
나의 생명은 너의 것이다/진교훈
자기결정권의 한계와 연명의료 중단

생명에도 위계가 있다/이창익
생명 개념에 대한 인지적 실험으로서의 종교

여러 겹의 생명을 살다/박규태
일본인의 생명관: 유형론적 일고찰

생명은 생존이다/배관문
일본인의 죽음관과 재해

진짜 자살은 없다/일영
조선 후기의 자살, 젠더, 계급: 『심리록』에 나타난 자살 관련사건 분석

죽음을 웃다/임현수
웃음과 죽음의 관계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보들레르와 바흐친의 경우

제2부 죽음의 인문학
사라진 죽음을 어떻게 물을 것인가/정진홍
죽음 문화의 그늘: 편의주의

죽음이 삶과 이야기하다/이용범
한국 무속의 죽음 이해 시론

죽음을 다시 죽다/김진영
고대 인도의 죽음 개념: 베다, 죽음의 원형 바로읽기

장례식도 진화한다/심혁주
티베트 생사관의 형성 배경

좋은 죽음이란 무엇인가/양정연
초기 불교 경전에 나타난 선종의 의미와 내용

무의미한 죽음은 없다 / 박형국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 오늘의 죽음 문화와 생명 살림을 위한 성찰

참고문헌
주석
찾아보기
발표지면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