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미워할 수 없는 우리들의 대통령 (4.19 주역이 말하는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미워할 수 없는 우리들의 대통령 (4.19 주역이 말하는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저자 : 이영일
출판사 : 하다
출판년 : 2018
ISBN : 9788997170432

책소개

한국정치에는 아직 미국식 민주정치에서 잘 알려진 ‘건국 아버지’라는 미국의 개념이 들어오지 않았다. 필자는 우리나라 대통령들을 단점이나 흠결 중심으로만 보는 접근 대신에 공헌이나 업적 중심으로 평가하는 새로운 접근을 시도, 공과 과를 동시에 살피고, 국가 지도자를 보는 국민적 시각을 바꿔나가겠다는 기대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이승만은 해방된 조국이 유엔감시하의 자유총선거를 통해 대한민국을 세움으로써 자칫 소련의 위성국으로 전락할지 모를 위기상황을 극복했고, 북한의 6·25남침에서 나라를 지켰다. 나아가 한미방위조약을 체결, 한반도에서 전쟁이 재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더욱이 한국발전의 기틀인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궤도를 깔아 국가발전의 기틀을 다진 것은 큰 업적이다.
박정희는 중동이나 남미의 독재자들과는 달리 자기 권력을 사적 치부의 수단으로 삼지 않고 국력배양에 사용했다는 점에서 평가받는다. 그는 집권 내내 개발독재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통치를 자행했지만 후진국가로서의 한국이 자유와 민주만으로는 이룩하기 힘든 국력배양을 통해 국가로서 비약적인 발전의 토대를 쌓아 올린 점이 높이 평가받는다.
전두환은 민의에 맞서 군을 동원하는 계엄정치 대신에 민의에 순응, 단임 약속을 끝까지 지키다가 백담사 유배와 내란죄로 옥살이를 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지만 그렇게라도 단임 공약을 지켰기 때문에 한국정치에서 1인 장기집권의 폐단을 막고 단임제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한 점도 크게 평가받아야 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정치에는 아직 미국식 민주정치에서 잘 알려진 ‘건국 아버지’라는 미국의 개념이 들어오지 않았다. 필자는 우리나라 대통령들을 단점이나 흠결 중심으로만 보는 접근 대신에 공헌이나 업적 중심으로 평가하는 새로운 접근을 시도, 공과 과를 동시에 살피고, 국가 지도자를 보는 국민적 시각을 바꿔나가겠다는 기대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이승만은 해방된 조국이 유엔감시하의 자유총선거를 통해 대한민국을 세움으로써 자칫 소련의 위성국으로 전락할지 모를 위기상황을 극복했고, 북한의 6·25남침에서 나라를 지켰다. 나아가 한미방위조약을 체결, 한반도에서 전쟁이 재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더욱이 한국발전의 기틀인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궤도를 깔아 국가발전의 기틀을 다진 것은 큰 업적이다.

박정희는 중동이나 남미의 독재자들과는 달리 자기 권력을 사적 치부의 수단으로 삼지 않고 국력배양에 사용했다는 점에서 평가받는다. 그는 집권 내내 개발독재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통치를 자행했지만 후진국가로서의 한국이 자유와 민주만으로는 이룩하기 힘든 국력배양을 통해 국가로서 비약적인 발전의 토대를 쌓아 올린 점이 높이 평가받는다.

전두환은 민의에 맞서 군을 동원하는 계엄정치 대신에 민의에 순응, 단임 약속을 끝까지 지키다가 백담사 유배와 내란죄로 옥살이를 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지만 그렇게라도 단임 공약을 지켰기 때문에 한국정치에서 1인 장기집권의 폐단을 막고 단임제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한 점도 크게 평가받아야 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면서 06

제1편 건국에서 호국으로 … 초대 대통령 이승만

1 왜 이승만 연구인가 022
2 이승만을 보는 나의 입장 026
3 이승만은 어떤 지도자인가 038
4 해방 정국의 소용돌이 속으로 뛰어들다 051
5 이승만의 건국 구상 · 062
6 유엔감시 자유 총선거와 대한민국의 성립 072
7 대한민국의 건국과 개혁 · 080
8 한국전쟁과 휴전 그리고 이승만 089
9 4·19혁명과 이승만 대통령, 그리고 나 106
10 이승만 대통령 어떻게 봐야할까 115

제2편 내 무덤에 침을 뱉어도 좋다 박정희 대통령

1 긍정의 시각으로 본 박정희 이야기 130
2 4·19혁명의 회고와 5·16쿠데타 상황의 재조명 133
3 4·19 이후 격동의 국내정세 139
4 5·16쿠데타의 발생 157
5 출옥 후 사회 재적응 노력 175
6 박정희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살펴본다 189
7 국민참여, 국민동원의 개발 행정, 개발 정치 197
8 국토통일원에 간 이영일의 행보 214
9 박정희 대통령의 통일 안보 철학의 전개 224
10 6·23선언과 대 공산권 문호개방정책의 전개 243
11 더욱 강화된 권위주의 독재체제 249
12 후대를 위한 국력배양에 헌신한 지도자 262

제3편 대한민국을 웅비시킨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1 곁에서 본 대통령 전두환, 인간 전두환 270
2 전두환 정권과의 첫 인연 277
3 전두환 대통령의 업적 평가 304
4 한미동맹 바탕으로 균형잡힌 대북 접근 320
5 물가안정과 외채극복의 리더십 334
6 최고의 인재 발굴 … 인사 정책에 성공하다 344
7 한국을 웅비시킨 88서울올림픽 유치 348
8 군은 정권의 사병이 되어서는 안 된다 353

글을 마치며 358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