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황순원 문학의 수사학과 서사학
황순원 문학의 수사학과 서사학
저자 : 노승욱
출판사 : 지식과교양
출판년 : 2010
ISBN : 9788996507123

책소개

인하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강사 노승욱의 『황순원 문학의 수사학과 서사학』. 황순원 문학의 연구자와 애독자뿐 아니라, 서사학과 수사학, 그리고 문화기호학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삼고 있다. 문장 단위를 넘어서 담론 차원에서 작용하는 수사학을 서사학과 결합시킨 문화기호학의 관점에서, 황순원 문학의 작품 구조뿐 아니라, 서사 전략을 함께 규명한다. 상징과 리얼리티가 순환하며 작용하는 현실세계의 해석에도 집중하고 있다. 황순원 문학에서의 상징과 리얼리티는 현실주의와 상징주의, 서사성과 서정성, 환유와 은유로도 확장하여 인식 가능한 본질적인 대응관계임을 밝힌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황순원 문학의 리얼리티와 상징이 상보적으로 길항작용하며 나타내고 있는 주제의식과 형식미학을 규명하는 연구

이 책은 황순원 문학의 리얼리티와 상징이 상보적으로 길항작용하며 나타내고 있는 주제의식과 형식미학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황순원 문학에 있어서 리얼리티와 상징의 관계는 현실주의와 상징주의, 서사성과 서정성, 환유와 은유로도 확장하여 인식할 수 있는 본질적인 대응관계라고 할 수 있다. 황순원 문학은 이질적이고 대립적인 요소들이 상호 공존하며 변증법적인 지양을 이루어가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황순원이 리얼리티와 상징과 같은 대립적 관계를 상보적인 길항관계로 인식하며 변증법적으로 통합해가는 서사 전략을 구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황순원 문학의 리얼리티와 상징을 규명함에 있어서 이 연구는 서사학과 수사학의 방법론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였다. 서사학과 수사학의 통합적 논의는 내포작가의 관념적 태도를 주목한 웨인 부스에 의해 시도된 바 있다. 스티븐 코핸과 린다 샤이어스에 의해 개진된 서사이론 역시 서사학과 수사학의 통합적 논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코핸과 샤이어스는 텍스트성의 분석을 통해 서사체의 구조를 통합적 환유와 계합적 환유, 통합적 은유와 계합적 은유로 사분하였다. 이는 언어학과 정신분석학을 결합시켜 통합적 기호학을 완성한 크리스티앙 메츠의 창의적 입론에 기초한 것이다. 이를 통해 스토리와 서술로만 양분되던 서사담론의 체계가 획기적으로 새로운 통찰을 이루어낼 수 있게 되었다. 필자는 문장 단위를 넘어서 담론 차원에서 작용하는 수사학을 서사학과 결합시킨 문화기호학의 관점에서 황순원 문학의 작품 구조와 서사 전략을 함께 규명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또한 대학 강단에서 문학과 영화, 그리고 문화를 강의하면서, 통합체/계합체로 제시되는 환유와 은유의 분석틀이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 종류의 연쇄적 텍스트 분석틀은 서사체의 구조 분석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통합체/계합체 속의 환유/은유의 분석틀을 창안한 메츠가 처음에는 영화 서사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지만 코핸과 샤이어스의 논의를 거치면서 네 가지 연쇄적 분석틀은 영화는 물론 소설, 연극, 뮤지컬, 드라마, 신문기사, 광고 등 스토리를 가진 모든 서사체의 구조를 분석하고 주제를 해석할 수 있는 통합적 연구 관점으로 확장되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_5
국문요약_12

Ⅰ. 서론
1. 문제 제기와 연구사 검토_16
2. 수사학과 서사학의 통합적 연구방법론_31
(1) 내포작가의 관념적 태도와 수사학적 전략_31
(2) 통합체와 계합체로 제시되는 환유와 은유_36
(3) 초점화 서술의 방식과 텍스트의 약호화_42

Ⅱ. 식민지인의 초점화와 통합체 속의 환유
1. 식민통치의 위압과 초점화자의 억압된 시선_54
2. 가변적 초점화를 통한 일본 제국주의 비판_81
3. ‘소년/노인’ 초점화자와 모성적 생명력 추구_104

Ⅲ. 분단 현실의 서사화와 계합체 속의 환유
1. 해방 후의 혼란상과 중립적 초점화자_118
2. 북한의 토지개혁과 가치중립적 서술_130
3. 중층 플롯 설정과 억압적 지배담론 비판_149

Ⅳ. 고향 상실의 상징화와 통합체 속의 은유
1. 서북지역의 원형적 상징과 생명존중사상_172
2. ‘별/흙’의 상징적 약호와 탈향자의 형상화_189
3. ‘겹 이야기’를 통한 귀향의 상징적 구현_209

Ⅴ. 경계적 삶의 상징화와 계합체 속의 은유
1. 성서의 지시적 약호와 ‘나무’의 생명지향성_232
2. ‘성/속’의 변증법과 신성神性의 상징적 현현_259
3. ‘경계인’의 의미소적 약호와 존재론적 구원 추구_273

Ⅵ. 결론_289

참고문헌_296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