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간단 명쾌한 동양사상
간단 명쾌한 동양사상
저자 : 세계사상연구회
출판사 : 시그마북스
출판년 : 2010
ISBN : 9788984454231

책소개

동양 사상가들은 어떠한 사고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았을까?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한 동양에서는 철학과 종교로 대표되는 인간의 정신적 행위가 서양과는 다른 방식으로 발달해왔다. 동양 사상은 정치ㆍ경제에 그치지 않고 더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들의 생활에 밀착되었는데, 동양 사상가들은 서양 사상가들과 달리 어떠한 사고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았을까? 또 인도, 중국, 한국, 일본은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사상을 발전시켰을까?『간단 명쾌한 동양 사상』에서는 우리 사고방식의 뿌리인 동양 사상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동양의 ‘사상’은 서양과 달리
‘철학’과 ‘종교’의 결합이었다!


언제부턴가 서양인들은 동양 사상의 심오한 신비 사상을 보며 자신들에게는 없는 신선함을 발견하고 있다. 심리학자 융은 심층심리학에 동양 사상을 활용했고 작곡가 말러는 이백의 시를 번안하여 교향악 「대지의 노래」를 작곡했다. 작가 샐린저는 『프래니와 주이』 등의 소설에서 선과 도를 절찬했고 지휘자 카라얀은 요가 호흡법, 명상법을 음악에 활용했으며 비틀즈는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에 사사했다. 또한 록밴드 너바나(Nirvana)의 밴드명은 ‘열반’이라는 의미이고 영화감독 워쇼스키 형제의 에서는 동양 사상의 일면을 볼 수 있다. 이렇듯 동양 사상이 구미에 끼친 영향은 이 밖에도 셀 수 없이 많다.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한 동양에서는 철학과 종교로 대표되는 인간의 정신적 행위가 서양과는 다른 방식으로 발달해왔다. 동양 사상은 정치·경제에 그치지 않고 더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들의 생활에 밀착되었는데, 과연 동양 사상가들은 서양 사상가들과 달리 어떠한 사고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았을까? 또 인도, 중국, 한국, 일본은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사상을 발전시켰을까?

먼저, 고대 중국 사회는 자연 신앙과 조상 신앙, 그리고 신화를 중요시했다. 춘추전국 시대 때, 제자백가라 불린 인물들은 왕과 제후에게 부국강병책을 간언했는데 공자를 개조로 하는 유교와 노자·장자로 대표되는 도가 사상은 이후의 중국 사상을 이끌어왔다. 이후 제자백가가 정비한 중국 사상은 통일 왕조에서 결실을 맺었다. 그러던 중 인도 철학의 정수인 대승불교의 이론과 체계를 접하고 크게 놀란 중국은 그에 맞서고자 유교와 도교를 종교로서 정비하기 시작했고 유교의 철학적인 부분 역시 송대에 들어 주자학으로 결실을 맺었다.

중국에 큰 자극을 준 고대 인도 사상은 인도를 정복한 아리아인의 사상과 토착 민족의 신앙이 공존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었다. 사제 계급 바라문을 필두로 한 계급 사회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양측의 종교가 뒤섞이면서 힌두교를 만들어 나갔다. 반면 불교는 바라문교 사회를 향해 문제를 제기하며 왕과 거상 등 신흥 계급의 지원을 받아 철학을 탐구했다. 그러나 서양 철학보다 선구적인 부분도 존재했으나 교단이 분열되고 발전해 가면서 민중과는 동떨어졌다. 결국 이슬람 세력의 침입으로 쇠퇴했다. 신비스러운 사상으로 여겨지는 인도의 철학 뒤편에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나온 정밀한 이론이 존재한다.

다른 동양권 나라들 중 사상적인 면에서 뒤늦게 발전하기 시작한 일본은 새로운 사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중국과 인도의 사상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연구하여 일본인에게 친숙하도록 바꿔나갔다. 이러한 노력은 메이지 근대화 시대에도 이어져 일본이 근대 국가로 탈바꿈하는 데 공헌했다. 물론 문학과 미술로 표현되는 미의식에서 일본의 독자적인 사상도 나타난다. 이는 세계에도 영향을 주며 발전해 나갔는데 우키요에나 린파 공예품에 영향을 받은 고흐 등의 인상파 화가, 그리고 에밀 갈레, 클림트 등의 아르누보 예술가들 또한 자신의 예술 세계에 이러한 동양풍 요소를 접목시켰다.

동양 문화권에 살고 있으면서도 사상이 철학·종교와 무엇이 다른지, 중국이 불교의 나라가 되지 않은 사상적 배경이나 인도 사상은 인체를 어떻게 보았는가 등 여러 가지 문제 대해 알쏭달쏭하다면 을 통해 우리 사고방식의 뿌리인 ‘동양 사상’을 다시 한 번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 서론

동양 사상의 세계란?
1. 동양의 지혜가 구미인의 마음을 울리다
2. 현대 문화에도 동양 사상이 살아 숨 쉬다
3. 사상은 철학·종교와 무엇이 다른가
4. 서양과 동양의 차이점은 종교에 있다?
5. 중국·인도 사상의 키워드

고대 중국 사상
1. 중국 사상의 원류는 무엇인가
2. 고대 중국은 신탁과 천명으로 움직이다
3. 고사성어와 제자백가의 춘추전국 시대
4. 유가의 공자는 무엇에 뜻을 두고 어떻게 살아갔는가
5. 맹자의 성선설은 사람을 ‘덕’으로 다스렸다
6. 순자의 성악설은 사람을 ‘예’로 이끌었다
7. 법가 사상은 ‘법’으로 사람을 다스렸다
8. 종횡가는 살아남기 위한 외교책을 주장했다
9. 병가는 정략과 군사를 주장했다
10. 묵가는 독특한 박애 사상을 주장했다
11. 도가의 개조 노자는 인위를 배제했다
12. 장자의 유례없는 세계관
13. 음양가는 ‘음양오행설’을 체계화했다
14. 명가는 궤변에 능하며 잡가는 모든 학문을 정비했다

중국 사회 사상의 전개
1. 진시황제는 법가와 유가를 함께 이용했다
2. 유가 사상이 한의 국학으로 정해지다
3. ‘천인상관’ 사상이 천하를 움직이다
4. 중화 사상은 유교의 ‘예’를 존중했다
5. 과거를 통한 문치주의의 좋은 면과 나쁜 면은?
6. 중국 신화는 후대의 창작이다
7. 도교는 민중을 움직이며 역사를 바꿨다
8. 신선 사상과 풍수 사상은 ‘기’ 이론에서 시작되었다

중국 사상의 새로운 전개
1. 불교는 중국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2. 중국도 불교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3. 선 정신은 언어와 문자를 초월한다
4. 선화로 느끼는 선의 마음
5. 중국이 불교의 나라가 되지 않은 사상적 배경
6. 주자학은 이기이원론으로 우주를 설명했다
7. 이기이원론으로 사람의 마음을 설명하다
8. 양명학은 또 하나의 유학
9. 한반도도 유교 문화권인가?

고대 인도 사상
1. 인도 사상의 집대성, 힌두교
2. 인도 사상가는 예나 지금이나 수행에 전념한다
3. 인도 사상은 아리아인이 구축했다
4. 성전 ‘베다’는 신에게 바치는 찬가
5. 우주의 창조는 원인 푸루샤 찬가에서 그려지다
6. 베다의 주역은 인드라
7. 인도 철학은 신흥 계급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8. 범아일여를 추구한 『우파니샤드』(오의서)
9. 인도의 토착 사상에서 기원한 윤회 사상
10. 육파 철학이 『우파니샤드』를 발전시켰다 ①
11. 육파 철학이 『우파니샤드』를 발전시켰다 ②
12. 육파 철학이 『우파니샤드』를 발전시켰다 ③

인도 사상의 새로운 전개
1. 불교의 발단
2. 석가의 첫 가르침 ‘사제’와 ‘팔정도’
3. 석가가 설법한 세계와 인간의 성립
4. 불교 교단은 삼장을 둘러싸고 분열한다
5. 상좌부에서는 다르마의 실재가 논의되었다
6. 대승불교의 시조 용수가 ‘공’을 설법하다
7. 유식파는 심층 심리에 발을 딛다
8. 상좌부와 대승의 차이점
9. 최고신이 된 브라흐만
10. 광폭한 신 시바는 10개의 이름이 있다
11. 비슈누는 세계를 유지하는 신
12. 서사시 속의 신들이 힌두교를 널리 퍼뜨리다
13. 밀교는 인도 불교의 최종 단계
14. 후기 밀교는 탄트리즘을 흡수하다
15. 이슬람교·기독교 문명과의 충돌

인도 사회에 자리한 사상
1. 인도의 부자연스러운 시간 감각
2. 인생을 ‘4주기’로 구분하다
3. 인도는 언어에 힘이 있다고 믿었다
4. 요가 행자는 몸으로 해탈을 지향한다
5. 하타 요가는 신비 사상과 연결된다
6. 인도 사상은 인체를 어떻게 보았는가

일본 사상과 미의식
1. 일본 사상의 원형은 풍토가 만들었다
2. 일본 사상은 호기심과 유연함이 빚어냈다
3. 고대 일본은 외래 사상을 훌륭히 소화했다
4. 헤이안 시대는 국풍 문화가 활짝 꽃을 피웠다
5. 일본에서 독자적 발전을 보인 가마쿠라 불교
6. 에도 시대는 사상이 개화하는 시대였다
7. 일본 사상은 ‘일본의 미’에서 나타난다
8. 메이지 철학자는 동서 융합을 시도했다

▶참고 문헌
▶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