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사상과 인물로 본 철학적 인간학
사상과 인물로 본 철학적 인간학
저자 : 박찬구
출판사 : 세창출판사
출판년 : 2020
ISBN : 9788984119543

책소개

이 책은 저자가 지난 10여 년간 대학 강단에서 ‘철학적 인간학’을 강의해 온 결과물이다. 인류의 위대한 스승들의 가르침을 몇 차례의 강의로 온전히 전달한다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기에, 이 책에서는 ‘철학적 인간학’의 취지를 살려 주로 인간의 실존적 자각, 삶과 죽음, 영혼의 문제를 이야기한다. 이때 저자는 특정한 입장에 서지 않고 각 사상이나 인물의 입장 자체 속으로 들어가 일관되게 그 입장에 서서 논의를 이어 간다.
어느 시대에나 방황하는 젊은이들의 문제의식과 고뇌는 있게 마련이지만, 특히 오늘날 우리 젊은이들이 겪는 난제들 중 일부는 철학적 인간학의 근본 과제와 맞닿아 있다. 철학적 인간학을 탐구하는 이 책에서 어쩌면 그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철학적 인간학philosophical anthropology이란
인간에 관해서 ‘철학적으로’ 성찰하는 학문이다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전공과목 ‘철학적 인간학’의 새로운 교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에는 필수과목인 ‘윤리학 개론’을 수강한 학생들이 윤리학의 배경에 놓여 있는 다양한 인간관에 대해 좀 더 깊게 성찰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으로서 ‘철학적 인간학’이 개설되어 있다. ?사상과 인물로 본 철학적 인간학?은 지난 10여 년간 ‘철학적 인간학’을 강의해 온 박찬구 교수가 그동안의 강의 내용을 고민하고 보완한 결과물이다.

‘보통명사’로서의 철학적 인간학을 이야기하다
이 책의 저자인 박찬구 교수는 ‘철학적 인간학’이 내포한 흥미로운 내용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짜임새 있게 전개한 교재를 찾기는 힘들었다고 말한다. 또한 이 학문의 특정한 시대적 배경과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는 대표 학자들로 인해 학생들로부터 기대한 만큼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고 고백한다. 이에 저자는 특정 시대의 문제의식을 반영한 ‘고유명사로서의 철학적 인간학’이 아니라, 시대와 장소를 넘어 폭넓게 인간의 문제를 다루는 ‘보통명사로서의 철학적 인간학’을 다룸으로써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한 문제의식을 담아 새로이 출간한 교재가 ?사상과 인물로 본 철학적 인간학?이다.

‘철학적 인간학’이 내가 겪는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어느 시대에나 방황하는 젊은이들의 문제의식과 고뇌는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인 박찬구 교수는 오늘날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학생들과 가까운 곳에서 눈을 맞추며, 이 젊은이들이 겪는 난제들 중 일부는 철학적 인간학의 근본 과제와 맞닿아 있다고 말한다. 오랜 시간 동안 철학적 인간학을 탐구하고 학생들과 의견을 나누어 온 저자는, 어쩌면 이 학문에서 오늘날 학생들이 겪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강의 시간이 ‘정신적 힐링’의 시간이었음을 고백한 학생도 있다. 여기서 우리는 철학적 인간학이 지닌 일종의 ‘철학적 치유’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사상’과 ‘인물’로 나누어 살펴보는 철학적 인간학
인류의 위대한 스승들의 가르침을 한 권의 책으로 전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저자는 ‘철학적 인간학’의 취지를 살려 주로 인간의 실존적 자각, 삶과 죽음, 영혼의 문제에 집중하여 책을 집필하였다. 또한 이런 주제들이 개인의 신념과 관련되어 있는 민감한 문제라는 점을 감안하여 저자는 특정한 입장에 서지 않고 각 사상이나 인물에 대한 평가, 즉 결론도 내리지 않는다. 그 대신 사상이나 인물의 입장 속으로 들어가 일관되게 그 입장에 서서 논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독자들이 ‘철학적 인간’의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논의를 이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1장 서론 : 삶에 대한 근본적 물음과 철학적 인간학
 1. 운명적인 물음
 2. 삶의 의미에 대한 성찰
 3. 인간에 관한 물음과 철학적 인간학의 기원
 4. 철학적 인간학의 역사
 5. 철학적 인간학의 현주소

2장 과학적 인간관을 넘어 : 인간의 본질과 죽음에 대한 성찰
 1. 물질이란 무엇인가?
 2. 인간은 동물이다!?
 3. 결정론과 자유의지
 4. 죽음에 대한 성찰
 5. 사후에도 영혼이 존재하는가?

3장 고대 그리스의 인간관 : ‘무지의 지’와 영혼 불멸
 1. 자연학에서 인간학으로
 2. 소크라테스와 ‘무지의 지’
 3. 플라톤의 문제의식
 4. 플라톤의 인간관
 5. 영혼 불멸과 ‘철학함’의 중요성

4장 그리스도교의 인간관 : ‘신의 형상’의 회복과 육신의 부활
 1. 철학적 인간학과 그리스도교 인간학
 2. 인간: 유한한 피조물로서 신의 형상을 지닌 존재
 3. 인간: 죄로 인해 신의 형상을 상실한 존재
 4. 인간: 그리스도를 통해 신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는 존재
 5. 선의 최종적 승리에 대한 희망
 6. 유한한 자의 종교로서의 그리스도교

5장 불교의 인간관 : 연기와 윤회, 그리고 해탈
 1. 불교 인간관의 특징
 2. 연기의 법칙
 3. 사성제
 4. 무아론
 5. 사법인
 6. 윤회와 해탈

6장 유가의 인간관 : 인간관계 속의 존재
 1. 유가 인간관의 특징
 2. 우주론
 3. 인성론
 4. 수양론
 5. 생사관
 6. 유가 인간관의 메시지

제2부
1장 칸트의 인간관 : 자연의 최종 목적으로서의 도덕적 인간
 1. 자연 세계의 입법자로서의 인간
 2. 도덕 세계의 입법자로서의 인간
 3. 영혼 불멸과 신의 현존을 요청하는 인간
 4. 자연의 최종 목적으로서의 인간

2장 키르케고르의 인간관 : 신 앞에 홀로 선 단독자
 1. 키르케고르의 문제의식: 주체적 진리와 실존
 2. 절망에서 신앙으로
 3. 실존의 삼 단계
 4. 현대 문명의 위기에 대한 경고

3장 니체의 인간관 : 허무의 심연을 딛고 일어선 초인
 1. 생철학의 등장과 니체의 문제의식
 2. 신의 죽음과 니힐리즘
 3. 힘에의 의지와 가치의 전환
 4. 영원회귀 사상과 운명애
 5. 초인

4장 셸러의 인간관 : 사랑의 공(共)수행을 통해서 드러나는 인격 가치
 1. 새로운 인간학의 문제의식
 2. 셸러의 방법론: 현상학
 3. 우주에서 인간의 지위
 4. 실질적 가치 윤리학

5장 하이데거의 인간관 : ‘죽음으로의 선구’를 통해 ‘존재 자체’에 눈뜬 인간
 1.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문제의식
 2. 현존재와 실존
 3. ‘세계-내-존재’와 일상인
 4. 불안과 ‘죽음으로의 선구’
 5. 시인으로서의 삶

6장 레비나스의 인간관 : ‘타인의 얼굴’을 통해 신과 만나는 인간
 1. 전체주의에 대한 비판
 2. ‘주체의 철학’에서 ‘타자의 철학’으로
 3. 고통의 윤리
 4. 타자 속의 하느님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