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Make (Technology on Your Time Vol.5)
Make (Technology on Your Time Vol.5)
저자 : 오라일리 미디어
출판사 : 한빛미디어
출판년 : 2013
ISBN : 9788979149753

책소개

『Make vol. 5 DIY 우주』는 2005년 2월 미국 오라일리 미디어(O’Reilly Media)에서 창간한 DIY 매거진이다. 이번 호의 주제는 ‘DIY 우주’다. 화물을 싣고 근우주는 물론 궤도까지 올라갈 수 있는 인공위성을 집에서 만드는 법을 소개하고 우주의 경관을 분석하거나 우주정거장의 통신을 엿들을 수 있는 장치를 쉽고 저렴하게 만드는 법도 소개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이 제시하는 핵심 내용
손으로 만드는 즐거움을 전하는 Tech D.I.Y. 매거진

어떤 독자를 위한 책인가?
Make, Play, DIY, 과학, 예술에 관심이 있는 고등학생, 대학생 이상의 성인

도서 특징(책 표지 글)
Make: Korea Volume 05

>> DIY 우주
이제는 우주 DIY다!

개인이 여는 우주시대의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만나보자

>> 레고 NXT 위성
NASA와 대학생들이 손잡고 만든 위성 시제품

>> SPACE DIY PROJECTS:
홈메이드 야기 안테나
풍선 우주탐사정
고해상도 분과사진기
DIY 우주 뉴스
+ 호기심 해결사 아담 새비지가 가르쳐주는 이중 몰드 제작하기

>> Craft: 책 속의 책으로 만나는 Craft 매거진

Make는 2005년 2월 미국 오라일리 미디어O’Reilly Media에서 창간한 DIY 매거진이다. Make는 직접 구상한 물건을 만드는 데서 즐거움을 느끼는 Maker들이 모여서 만든 Maker의, Maker에 의한, Maker를 위한 매거진이다. Make: Korea는 2011년 5월 창간되었다. 창간호 특집, 아두이노 혁명(오픈소스 하드웨어), 잃어버린 과거의 지식(스팀펑크), 책상 위 공작소(3D 프린터, 개인 제조 툴) 등의 주제에 이어 아마추어 우주개발 시대에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우주탐험 플랫폼과 우주탐사 DIY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저자 서문
[발행인 데일 도허티 서문]
실리콘밸리는 전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혁신의 본산이다. 그리고 그러한 명성에 감히 걸맞다고 할만한 기념비적인 랜드마크는 단 한 군데뿐이다. 그곳은 다름 아닌 캘리포니아 모펫 필드(비행장)의 제1격납고다. 이곳에 NASA 에임즈 연구소가 자리 잡고 있다.
101번 고속도로에서 보이는 제 1격납고는, 마치 쿠푸왕의 대피라미드처럼 우뚝 서 있다. 이 격납고는 체펠린 같은 경식 비행선을 격납하기 위해 1933년에 문을 열었다. 독립형 구조로 된 내부의 면적은 9,800평이 넘고, 비행선 출입을 위한 거대 여닫이문이 양쪽으로 달려 있다.
현재, NASA와 관련 단체의 협의 결과에 이 역사적인 건물의 운명이 달려 있다. 격납고 벽의 외장재는 석면과 PCB를 포함하고 있었다. 그래서 지금은 외부벽을 걷어내고 뼈대만 남긴 상태다. NASA의 협의 내용에 따라 이 건물은 보수, 또는 철거될 것이다. 건물의 보존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문화적 상징물로서의 건물을 보호하려고 한다. 하지만 비행선이 하늘을 주름잡던 시대는 이미 끝났다. 요즘도 에어십 벤처회사가 모펫 필드에서 체펠린 비행선을 날리고 있기는 하지만, 제 1격납고는 옛 시대를 그리는 아이콘에 불과한 것이다.
이 아이콘은 미국에서 있었던 우주개발 경쟁의 부산물이다. 한 일이라곤 머큐리 계획과 아폴로 계획을 집에서 TV로 시청한 것밖에 없더라도, 스스로 미국 우주개발에 공헌했다고 생각하는 나 같은 사람들이 꽤 있다. 달 착륙이라는 원대한 목표는 많은 젊은이를 과학자와 공학자로 만들었다. 그들은 인류의 가장 큰 꿈을 이루기 위해 열정을 품고 NASA로 모여들었다.
많은 사람이 NASA에서 탄탄한 경력을 쌓았다. 하지만 느려터진 관료주의에 실망한 사람도 있다. NASA라는 조직은 시간이 지날수록 움직이기 힘들어졌고, 같은 일을 예전보다 더 큰 비용을 들여 처리했다. 비행선 시대가 막을 내렸듯이, 미국의 우주개발도 우리가 자랄 때와는 달라졌다. 그리고 같은 맥락에서 제 1격납고의 미래도 불투명해졌다. 그러나 우주에 대한 우리의 열정은 아직도 그대로다.
그나마 미래의 우주개발이 NASA에 전적으로 의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희망적이다. NASA 에임즈 연구소의 스페이스 포털 그룹에서 일하는 브루스 피트먼은 이러한 미래의 상황을 ‘스페이스 2.0’이라고 부른다. 스페이스 1.0이 NASA가 모든 것을 통제하는 일원화 방식이었다면, 스페이스 2.0은 전 세계인의 열정과 기술을 끌어모으는 다수 참여방식이라는 것이 피트먼의 설명이다.
스페이스 2.0은 우주개발의 오픈소스화를 의미한다. 이 새로운 모델을 통해 우주기술은 빠르게 저비용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는 메이커에게 보내는 우주연구개발 초대장이기도 하다. 지금 천문학을 비롯한 여러 영역에 아마추어가 참여하고 있는데, 아마추어들은 같은 방식으로 차세대 우주개발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게 될 것이다. NASA 에임즈 연구소 소속 린 하퍼의 말에 따르면 우주공간의 상업적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준궤도 비행이 많이 늘어날 것이며, 미세중력 연구 분야 역시 성장할 것이라고 한다. 미세중력 연구는 수백 건 정도가 아니라 수십만 건의 우주실험이 필요한 분야다.

이번 호의 주제는 ‘DIY 우주’다. 이번 호에서도 여러분은 별의별 메이커들을 다 만나볼 것이다. NASA에 소속된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민간단체에 몸을 담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화물을 싣고 근우주는 물론 궤도까지 올라갈 수 있는 인공위성을 집에서 만드는 법을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우주의 경관을 분석하거나 우주정거장의 통신을 엿들을 수 있는 장치를 쉽고 저렴하게 만드는 법도 소개할 것이다. 그 밖에도 스마트폰 위성이나 달 자원 채굴 로봇 등 메이커(바로 여러분!)의 참여가 필요한 우주 프로젝트를 소개할 것이다.
찰스 플랫은 ‘로켓맨’이라는 기사에서, 새로운 민간우주기업의 개척자들을 인터뷰했다. 그는 개인과 소기업이 우주연구를 하는 모하비 항공우주공항도 방문했다. 공항의 운영자인 스튜어트 위트는 이렇게 말했다. “저희는 실험할 자유를 드립니다.” 이것만 있으면 충분하다. 열정 하나로도 족하다. 미래는 당신에게 달려 있다.

관련도서
『Make: Technology on Your Time Volume 01』(한빛미디어, 2011)
『Make: Technology on Your Time Volume 02』(한빛미디어, 2011)
『Make: Technology on Your Time Volume 03』(한빛미디어, 2012)
『Make: Technology on Your Time Volume 04』(한빛미디어, 2012)
『움직이는 사물의 비밀: DIY를 위한 기계와 메커니즘의 기초』(한빛미디어, 2012)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 SPECIAL SECTION 01: SPACE
38: 인공위성 만들기
_ NASA 연구원 크리스 보슈아이젠과 함께 자작 위성의 가능성을 탐험해보자.
40: 인공위성을 통해 무선통신하기
_ 홈메이드 야기 안테나로 우주를 통한 무선통신에 도전해보자.
46: 풍선 우주탐사정
_ 풍선으로 우주탐사정을 만들어서 근공간으로 띄운다? 일러스트 한 장에 정리해서 보는 풍선 우주탐사정의 모든 것.
48: 우주비행 관제센터의 메이커
_ 휴스턴, 문제가 생겼다! 우주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
50: 고해상도 분광사진기
_ 스펙스럼을 기록하는 분광사진기는 화학적 성질을 분석하기 위한 표준 도구다. 문명의 이기를 이용해서 연구소 수준의 분광사진기를 간단히 만들어보자.
54: 로켓맨
_ 민영 우주회사를 이끄는 민간 우주개발 1세대의 개척자들을 만나보자.
60: DIY 우주 뉴스
_ 달의 비밀, 화성에 가기 위한 이온 엔진, 운석 사냥, 우주에 투자한 억만장자들! 개인 우주시대를 준비하는 사람을 위한 모든 정보를 모았다.

>> SPECIAL SECTION 02: Craft
128: Craft:의 탄생
_ 수공예 기술을 응용한 DIY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Craft 매거진을 만나본다.
130: 수공예 메이커의 경제학
_ 경제활동의 개념이 수공예, DIY 영역까지 확대되면 경제구조는 어떻게 바뀔까?
132: 괴짜 소녀, 패션을 접수하다
_ 아마추어 무선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할 수 있는 패션 디자이너, 패션과 기술을 융합하는 메이커 다이애나 잉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살펴본다.
136: 수공예 커뮤니티의 습격
_ 수공예 커뮤니티, 크래프트 마피아와 처치오브크래프트가 DIY 정신을 설파한다.
139: 오징어먹물 채취하기
_ 자연의 잉크, 쓰임새가 다양한 오징어먹물을 채취해보자.
142: LED 탱크탑 만들기
_ 전자공학과 옷이 만나면? 내 마음대로 깜빡 거리는 LED 매트릭스를 옷 위에 구현해보자.

>> Make: Projects
72: 풍선위성 항공카메라 By 짐 뉴웰
_ 동네에서 싸게 산 카메라를 개조해서 항공사진을 찍어보자. 헬륨풍선과 간단한 카메라 받침대를 조합한 구조를 설계해서, 구글 어스를 때려잡을 정도로 멋진 항공사진에 도전해보자.
82: 아두이노 가드닝 By 루크 아이즈맨
_ 아두이노를 이용한 자동 관리시스템을 만들어 스마트한 도시농업을 시작해보자. 광센서, 온도센서, 간단한 수제 습도센서와 릴레이를 사용해 식물의 천국, 식물의 니즈에 최적화된 농장을 가꿔보자.
94: 스트로보스코프 By 니콜 캐트렛 / 월터 키툰두
_ 움직이는 피사체를 사진 한 장에 담게 도와주는 카메라 장치인 스트로보스코프를 만들어보자. 사람, 동물, 새, 바다생물, 곤충 등 다양한 피사체의 움직임이 만드는 아름다운 패턴을 감상해보자.
154: Primer: 이중 몰드 만들기
_ 커다란 물체를 주조하기 적합한 방법인 이중 몰드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인기 TV 프로그램 ’호기심 해결사’의 아담 새비지가 모형제작 방법 뒤에 숨겨진 과학에 대해서 설명한다.

>> DIY
109: Workshop
_ 미니 배연기
_ $30 초소형 용광로
115: Outdoors
_ 비 오는 날은 왠지...
118: Home
_ 베이컨이, 베이컨 비누에게
120: Spy
_ 핸드백 경보 시스템
123: Toys
_ 고무줄 파워! 미니카 발사대

>> Columns
3: 오픈소스 우주
5: 예측 가능한 모델을 구축하라
7: 메멘토 모리: 삶을 기억하라
9: 오두막집과 나
18: 아마추어 과학자로 사는 법

>> Maker
10: Made on Earth
22: 과학상자
26: 핀볼이여, 영원하라
30: 에너지 드링크 해킹
32: 석기시대 전신기
35: 헨리 포드의 작업실
36: 1+2+3: 도시 생존 키트
70: 1+2+3: 페트병으로 만드는 지갑
104: 물 없이 스파게티 만들기
126: 1+2+3: 초간단 붐박스
162: TOOLBOX
167: 기타 앰프 게시판
168: 드로이드 공장
170: 과거의 찬란한 유산: 돌 깎아서 그릇 만들기
172: 알렉산드로 볼타와 전기도금
175: 1+2+3: 과일 따는 도구
176: Homebrew: 나의 프랑켄 맥주 공장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