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죽음의 철학
죽음의 철학
저자 : 에가와 다카오
출판사 : 그린비
출판년 : 2019
ISBN : 9788976825995

책소개

그린비 리좀 총서Ⅱ 8번째 책. 에가와 다카오가 『존재와 차이』로 일본의 사상계에 일대 ‘사건’을 일으킨 지 2년 만에 내놓은 저작이다. 새로운 에티카의 형성이라는 문제의식을 품고 반도덕주의 사상을 원리적 수준에서 재구성하려는 그의 철학적 과제는 『존재와 차이』에서 시작되어 『죽음의 철학』을 통해 하나의 매듭이 지어진다. 들뢰즈, 스피노자, 아르토의 사상이 녹아든 에가와 다카오의 실천철학은 이 책에서 비로소 완성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간의 본성은 변화할 수 있는가?

들뢰즈, 스피노자, 아르토를 통해 완성한 잔혹 철학!



『죽음의 철학』은 에가와 다카오가 『존재와 차이』로 일본의 사상계에 일대 ‘사건’을 일으킨 지 2년 만에 내놓은 저작이다. 『존재와 차이』는 들뢰즈의 ‘반-효과화’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칸트와 스피노자의 철학을 내세우며 ‘비판’과 ‘임상’을 포괄하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하나의 ‘에티카’, 그 자신의 선험철학에 도달하려는 시도였지만, 사유 속에서 방향을 정해야 한다는 과제가 해결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에가와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특히 『정황(情況)』 등의 지면을 통해 고군분투하며 몇몇 개념과 사유를 가다듬었고, 그 결과로 본서가 탄생하게 되었다. 『존재와 차이』가 선험철학을 전개했다면, 『죽음의 철학』은 철저히 실천철학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일본 사상계의 전환을 이끌어낸 새로운 에티카



에가와 다카오는 들뢰즈와 스피노자의 철학을 비판적으로 연구해왔고, 들뢰즈·가타리가 『안티-오이디푸스』에서 빈번히 언급한 앙토냉 아르토에 경도되었다. 들뢰즈·가타리의 ‘탈기관체’라는 개념도 아르토에게서 비롯된 것이다. 『죽음의 철학』은 이들 사유의 본질이 응축되어 있다. 새로운 에티카의 형성이라는 문제의식을 품고 반도덕주의 사상을 원리적 수준에서 재구성하려는 그의 철학적 과제는 『존재와 차이』에서 시작되어 『죽음의 철학』에서 하나의 매듭이 지어졌고,『초인의 윤리: ‘철학하기’ 입문』, 『안티-모랄리아: ‘탈기관체’의 철학』을 거쳐 『스피노자 『에티카』 강의: 비판과 창조의 사유를 위하여』, 『모든 것은 항상 다른 것이다: ‘신체-전쟁기계’론』으로 이어진다. 집요하고 일관되며 ‘대중성’과 결코 타협하지 않는 그의 철학은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여 명쾌한 사유의 궤적을 그린다. 그는 일본 사상계가 독자적인 철학을 전개하기 시작한 전환기를 이끌어내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본서는 전작 『존재와 차이』와 함께 ‘전환기 사상’의 정수를 이루고 있다.





죽음의 관념을 일그러뜨리고, 죽음 그 자체를 구부려라



본서는 제목대로 ‘죽음의 철학’을 다루지만 하나의 죽음을 구성한다는 의미에서의 ‘죽음의 철학’일 뿐, 죽음에 관한 고찰, 죽음을 둘러싼 철학이 아니다. 즉 “죽음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죽어야 하는가” 식의 물음과는 무관하다. 들뢰즈의 철학은 ‘생生의 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존재의 방식 혹은 생존의 양식을 어떻게 형성하느냐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여 ‘죽음’ 혹은 ‘불사’의 관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생의 철학’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죽음의 철학’ 또한 필수적이다. ‘생의 철학’만으로는 구성할 수 없는 물음을 제기함으로써 ‘생의 철학’을 보완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말한다. “죽음의 철학이란 첫째로 죽음을 신성화하는 것을 그만두고, 둘째로 그럼으로써 죽음의 관념을 일그러뜨리고 죽음 그 자체를 구부리는 것이다. 혹은 적어도 그것들에 대한 윤리적인 노력이다. 그것이 죽음을 분열증화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죽음의 철학을 이를테면 ‘잔혹의 철학’이라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적어도 나는 그러한 것으로서 죽음의 철학을 보아내고 싶다.” 에가와의 문제의식은 분명하다. “인간 본성의 변화 또는 인간 본질의 변형을 실재적으로 가능케 하는 요소를 어떻게 우리 자신이 발생시킬” 수 있는가? “본질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실재적 요소로서 인간의 존재의 방식이란 어떠한 것”인가? 그는 생존의 양식을 변화시키면 개체적 본질을 실재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스피노자의 ‘3종 인식’, 아르토의 ‘잔혹연극’과 합류하는 지점이다. 죽음은 잔혹과 무능력에 의한 인간 본성의 변화로 우리를 이끈다. 본서는 들뢰즈, 스피노자, 아르토의 사상이 녹아든 대양에서 탄생한, 도래해야 할 하나의 실천철학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죽음의 철학』 주요개념집 7



머리말 15



1장 _ 불사(不死)에 이르는 병 25



1. 절대적 슬픔의 소수자 기하학 26

1) 오늘날 실천철학이란 무엇인가 26

2) ‘자연계의 일의성’에 관한 자연철학과 “반자연의 융즉”을 규정하는 실천철학 33

3) 무능력의 소수자 기하학 ? 어떻게 슬픔, 증오, 분노, 질투, 복수심 등을, 혹은 부정 없는 무능력을 표현할까 38



2. 욕망하는 병행론·분신론 48

1) 들뢰즈/가타리와 분열종합적 사유 48

2) 정신적-물리적인 합일론에서 분열적-신체적인 분신론으로 53

3) 욕망하는 병행론·분신론(그 첫 번째 규정) 63

4) 계열의 병행론에서 리좀의 분신론으로 67

5) 자아의 죽음 ? 블록과 패러·그래프의 문제 70



2장 _ 죽음의 원근법 75



3. 본질의 외피를 할퀸다 76

1) 욕망하는 병행론·분신론(그 두 번째 규정) 76

2) 인간의 본질 ? 계속해서 웃는 동물 83

3) 유기적 사유의 한 치의 절단 ? 칸트의 금령 88

4) 비율=비 속에서의 ‘죽음의 생성’, 가속과 감속의 다양체 92



4. 헤테로리즘 선언 100

1) 헤테로리즘이란 무엇인가 ? 공포에서 잔혹으로 100

2) 분열분석적 경험 ? 아르토라는 절대적 사례 109

3) 인간 본성과 결별하기 위하여 ? 잔혹과 감염 115

4) 결여 없는 무능력에 관하여 122



3장 _ 죽음의 철학 129



5. 불사의 경험론 130

1) 욕망하는 병행론·분신론(그 세 번째 규정) 130

2) 죽음이 나누는 것 ? 드라마화의 선 137

3) 가짜 분신 ? ‘흡혈귀든 인간이든’ 143

4) 모방과 의태의 차이 ? 데이비드 린치 151



6. 강도와 분신 ? 죽음의 분열증화 157

1) 강도의 이접성 ? ‘존재든 본질이든’ 157

2) 죽음의 경험과 무기고 167

3) 참다운 신체의 투사 173



맺음말 179

옮긴이 후기 181

찾아보기 185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