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동아시아 전통 인테리어 장식과 미 (사합원과 서원조 반가 한옥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전통 인테리어 장식과 미 (사합원과 서원조 반가 한옥을 중심으로)
저자 : 박선희
출판사 : 서해문집
출판년 : 2014
ISBN : 9788974836696

책소개

'아시아의 미' 시리즈 두 번째 책이다. 이 책은 ‘유교’라는 공통분모 아래서 나름대로 독자성과 창조성을 바탕으로 각자의 문화를 이어 온 동아시아 세 나라, 한국·중국·일본의 전통 인테리어 장식을 비교하고 연구한 최초의 결과물이다. 특히 각 나라별 대표 주택의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같은 듯 다르고 다른 듯 같은 동아시아 삼국의 미의식을 찾아내 보여 준다.



중국 문화의 결정체라고 평가받는 사합원四合院은 한나라 때부터 이어 온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주거 유형이다. 한자 뜻 그대로 ㅁ자 공간의 중심에 안뜰인 중정을 두고 이를 사방으로 둘러 가족의 생활공간을 배치한, 폐쇄적이면서도 반개방적인 독특한 구조다. 이는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에 따른 것이다.



일본의 대표적 상류 주택인 서원조書院造는 말 그대로 표현하자면 서원(서재)이 있는 집이다. 이는 무가 정권으로 대표되는 일본 중세 때 무사들이 서원을 중심으로 손님을 접대하고, 격식과 위엄을 드러내면서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지금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다다미와 도코노마로 대표되는 접객 공간이 특징이다. 그런 만큼 접대와 의식에 중요한 외관에 신경을 많이 써, 외적으로는 정원이, 내적으로는 병풍과 작은 가리개, 장벽화 등이 발달했다.



한국의 대표 주거 유형으로는 한옥을 들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조선시대 양반가의 주택인 ‘반가 한옥’이야말로 전통 한옥의 고유한 특징을 잘 보여 준다고 하겠다. 반가 한옥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도 ‘비움과 소통’이다. 또 한옥은 사합원이나 서원조처럼 공통된 구조적 특징보다는 각 지형과 환경에 맞게 변화시킨 변화무쌍한 공간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한옥은 세 나라 중에서 가장 가족 중심적이며 전통 인테리어 요소가 많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아시아의 미’는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공유한 문명 자산에 근거하면서도 지역적 보편성을 나름으로 형성해 온 아시아 미의 특징을 발굴하는 시리즈입니다. 역사학적·예술사적·문화인류학적 접근을 통해 아시아의 미를 탐구하고, 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펴내는 대중을 위한 인문교양서입니다.



같은 듯 다르고, 다른 듯 같은

동아시아 삼국의 전통 인테리어 장식

그 속에 담긴 아름다움을 엿보다



아시아의 미를 탐구하는 시리즈 ‘아시아의 미’ 두 번째 책이다. 이 책은 ‘유교’라는 공통분모 아래서 나름대로 독자성과 창조성을 바탕으로 각자의 문화를 이어 온 동아시아 세 나라, 한국·중국·일본의 전통 인테리어 장식을 비교하고 연구한 최초의 결과물이다. 특히 각 나라별 대표 주택의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같은 듯 다르고 다른 듯 같은 동아시아 삼국의 미의식을 찾아내 보여 준다.



중국 문화의 결정체, 사합원

- 반개방적 구획과 장식물을 적극 활용한 빼어난 조형미

중국 문화의 결정체라고 평가받는 사합원四合院은 한나라 때부터 이어 온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주거 유형이다. 한자 뜻 그대로 ㅁ자 공간의 중심에 안뜰인 중정을 두고 이를 사방으로 둘러 가족의 생활공간을 배치한, 폐쇄적이면서도 반개방적인 독특한 구조다. 이는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에 따른 것이다. 이와 같은 기본 구성에 따르되 각자의 개성에 맞게 정원을 더하기도 하고, 회랑으로 각 공간을 연결시키도 해 독특한 미적 감각을 뽐낸다.

이런 사합원의 장식 특징으로는 붉은색을 중심으로 한 화려한 채색, 효과적으로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격선과 짜오의 발달, 가구와 창틀 등 목재에 다양하게 새긴 문양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특징 속에서 나타나는 ‘빼어난 조형미’가 바로 중국의 대표적 미의식이다.



절제와 관조의 긴장미, 서원조

- 인간 본연의 감성을 절제하고 축약해 드러내는 검약의 표현미

일본의 대표적 상류 주택인 서원조書院造는 말 그대로 표현하자면 서원(서재)이 있는 집이다. 이는 무가 정권으로 대표되는 일본 중세 때 무사들이 서원을 중심으로 손님을 접대하고, 격식과 위엄을 드러내면서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지금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다다미와 도코노마로 대표되는 접객 공간이 특징이다. 그런 만큼 접대와 의식에 중요한 외관에 신경을 많이 써, 외적으로는 정원이, 내적으로는 병풍과 작은 가리개, 장벽화 등이 발달했다. 이는 인테리어의 핵심이 가족을 위한 것이 아니라 큰 사회 권력, 즉 타자의 공간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점을 잘 보여 준다.

특히 서원조는 중국과는 달리 화려한 채색을 절제한 점과 다다미에서 볼 수 있는 직선적이고 규격화된 패턴 등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특징 속에서 나타난 미의식이 바로 ‘절제와 관조의 긴장미’라 할 수 있다.



비움과 소통의 휴먼스케일, 반가 한옥

- 실용을 기본으로 인간애를 예술적으로 표현한 조화로운 인간미

한국의 대표 주거 유형으로는 한옥을 들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조선시대 양반가의 주택인 ‘반가 한옥’이야말로 전통 한옥의 고유한 특징을 잘 보여 준다고 하겠다. 반가 한옥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도 ‘비움과 소통’이다. 또 한옥은 사합원이나 서원조처럼 공통된 구조적 특징보다는 각 지형과 환경에 맞게 변화시킨 변화무쌍한 공간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한옥은 세 나라 중에서 가장 가족 중심적이며 전통 인테리어 요소가 많다.

개방성이 강한 마루, 다양한 창호와 창살, 자연과의 소통을 극대화한 분합문 그리고 기능과 종류가 다양한 병풍과 휘장 등이 한옥의 인테리어 특징을 잘 보여 주는 요소다. 이러한 요소를 통해 나타난 대표적 미의식이 바로 ‘실용과 조화된 인간미’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여는 글



1 동아시아 주거 문화 이해하기

01 주거는 문화다

02 인테리어는 문화적 정체성의 아이콘



2 중국 문화의 결정체, 사합원

01 사합원의 구성 원리와 배경

02 사합원의 구조와 공간 특성

03 상류 사합원의 사례와 특성

04 사합원의 전통 인테리어

05 사합원의 전통 인테리어로 본 중국인의 미의식



3 절제와 관조의 긴장미, 서원조

01 사합원의 구성 원리와 배경

02 서원조의 구조와 공간 특성

03 상류 서원조의 사례와 특성

04 서원조의 전통 인테리어

05 서원조의 전통 인테리어로 본 일본인의 미의식



4 비움과 소통의 ‘휴먼스케일’, 반가 한옥

01 반가 한옥의 구성 원리와 배경

02 반가 한옥의 구조와 공간 특성

03 상류 반가 한옥의 사례와 특성

04 반가 한옥의 전통 인테리어

05 반가 한옥의 전통 인테리어로 본 한국인의 미의식



5 삼국의 전통 인테리어 장식 특성과 비교

01 한중일 전통 인테리어 특성

02 한중일 미의식 비교

03 한중일 인테리어 장식 비교



주석

참고문헌

도판 출처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