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복고와 서양화 사이에서 (1864∼1910, 한성에서의 건축 활동과 도시변화의 방향성 모색)
복고와 서양화 사이에서 (1864∼1910, 한성에서의 건축 활동과 도시변화의 방향성 모색)
저자 : 서동천
출판사 : 한양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21
ISBN : 9788972187097

책소개

국수주의의 수렁과 서구ㆍ일본에 대한 편향에서 벗어나
다양성의 시선과 방대한 사료를 바탕으로
복고화ㆍ중국화·ㆍ일본화ㆍ서양화라는 중층적 구조에서
개항기 근대 건축과 도시를 재조명한 한국 근대건축사

이 책 『복고와 서양화 사이에서』는 1864년부터 1910년까지 고종과 순종 즉위 기간 동안 한성의 건축 및 도시의 변화에 대하여 서술한 것이다. 개항과 함께 서양문물이 유입되고 근대화의 길을 걷게 되었으므로 당연히 건축과 도시의 변화도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과연 그러했을까? 이 책은 이러한 의문에 대한 대답을 조선의 수도 한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통해 고찰하고 있다. 당시 한성의 변화가 전적으로 우리의 의지에 의해 이루어졌다고는 보기 어렵다. 중국과 일본, 서구 열강에 의해 한국에서의 이권 침탈이 행해지고, 한성도 잡거지로 개방되면서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가는 과정을 건축과 도시 변화의 관점에서 재조명한 것이 이 책이다.

건축은 변화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건축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재료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므로 오랜 시간을 요한다. 그리고 변화된 건축이 보편적 경향으로 자리 잡으려면 교육과 사회시스템의 변화까지도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항과 함께 서양화와 근대화가 이루어졌다는 시각을 대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근대화라는 역사적 판단 속에 개항 이후 기존 건축과 건축기술자들의 역할은 경시되어온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기존 건축과 새로 유입된 서양건축의 관계, 여기에 중국인과 일본인의 적극적인 한성 유입과 함께 중국 건축과 일본 건축의 영향이 커진 점을 반영하여 건축과 도시 변화에 있어서의 다양한 방향성을 검토하고 있다. 근대화나 서양화라는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중국과 일본의 영향을 더하여 다양한 영향관계에 의한 변화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격변기 한국의 변화 양상을 다양한 동인을 통해 입체화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 책은 기존 근대사 연구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 성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국수주의의 수렁과 서구·일본에 대한 편향에서 벗어나

다양성의 시선과 방대한 사료를 바탕으로

복고화·중국화·일본화·서양화라는 중층적 구조에서

개항기 근대 건축과 도시를 재조명한 한국 근대건축사



이 책 『복고와 서양화 사이에서』는 1864년부터 1910년까지 고종과 순종 즉위 기간 동안 한성의 건축 및 도시의 변화에 대하여 서술한 것이다. 개항과 함께 서양문물이 유입되고 근대화의 길을 걷게 되었으므로 당연히 건축과 도시의 변화도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과연 그러했을까? 이 책은 이러한 의문에 대한 대답을 조선의 수도 한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통해 고찰하고 있다. 당시 한성의 변화가 전적으로 우리의 의지에 의해 이루어졌다고는 보기 어렵다. 중국과 일본, 서구 열강에 의해 한국에서의 이권 침탈이 행해지고, 한성도 잡거지로 개방되면서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가는 과정을 건축과 도시 변화의 관점에서 재조명한 것이 이 책이다.

건축은 변화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건축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재료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므로 오랜 시간을 요한다. 그리고 변화된 건축이 보편적 경향으로 자리 잡으려면 교육과 사회시스템의 변화까지도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항과 함께 서양화와 근대화가 이루어졌다는 시각을 대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근대화라는 역사적 판단 속에 개항 이후 기존 건축과 건축기술자들의 역할은 경시되어온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기존 건축과 새로 유입된 서양건축의 관계, 여기에 중국인과 일본인의 적극적인 한성 유입과 함께 중국 건축과 일본 건축의 영향이 커진 점을 반영하여 건축과 도시 변화에 있어서의 다양한 방향성을 검토하고 있다. 근대화나 서양화라는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중국과 일본의 영향을 더하여 다양한 영향관계에 의한 변화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격변기 한국의 변화 양상을 다양한 동인을 통해 입체화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 책은 기존 근대사 연구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 성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고종 재위기간 동안 건축 변화의 폭

고종 재위기간의 건축을 바라보는 관점의 폭

본고의 목적

본고의 의의

본고의 대상 시기와 공간

용어 정의



제1부 | 한국이 보는 서양건축, 서양이 보는 한국건축



제1장 서양식 건축의 유입과 그 표현용어의 변화

한국 전통 건축과 서양식 건축의 불균형

서양식 건축과의 만남

제도의 제정과 용어의 변화

반양제 건축의 등장: 감리서 건축

대한제국기 반양제 표현의 다변적 전개와 반양제 건축의 특징: 신문기사 속 표현

반양제 건축의 양식적 정리

소결



제2장 한국 전통식 건축과 이층 상점에 관한 고찰

한국 전통식 건축에 관한 객관적 평가의 필요성

서양 및 동아시아 국가의 건축을 통해 본 한국 전통식 건축의 특징

한국 전통 건축의 특징: 서양, 중국, 일본 건축과의 구분

한국 전통식 2층 건축의 형식과 특징에 관한 고찰

개항기 한성의 2층 상업 건축에 대한 고찰

소결



제2부 | 건축과 도시 변화의 연대기



제3장 개항 이전 건축 활동과 한성의 변화 (1864~1882년)

기존 연구와 고종초기에 대한 정의

고종 초기 건축 활동의 추이

고종 초기 한성 내 건축 활동 상세

고종 초기 건축 활동의 흐름과 도시의 변화

소결: 도시변화의 지향점으로서 조선 초기로의 복고



제4장 개항 이후 건축 활동과 한성의 변화 (1882~1894년)

새로운 건축 양식 유입 경위에 관한 고찰

서양 제도 및 사상의 유입이 건축에 미친 영향

한성의 잡거지화와 일본인 거주공간의 형성

잡거 초기의 정착과정에 관한 고찰: 외교공관의 거점화

중국 상인과 일본 상인의 세력다툼

중국 상인의 약진과 활동 영역

소결



제5장 청일전쟁 이후 건축과 도시의 변화 (1894~1904년)

고종의 서양식 건축에 대한 자세

건축의 기능과 건축 형식의 일치

대규모 토목사업의 전개

일본인과 중국인의 영역 분할과 확장

한성 서부 지역으로의 중심 변화와 서양인 영역

소결



제6장 일본인 영역의 확장과 건축 및 도시의 변화 (1904~1910년)

한국인 건설 기술자에 대한 고찰

한국 내 일본인 건축업과 중국인 건축업의 양상

탁지부 건축소의 건축 활동 상세

한성의 일본 식민지화

소결



제7장 건축과 도시 변화의 방향성에 관한 고찰

개항기 건축의 유형화

도시의 방향성에 관한 고찰

소결



맺음말 본고의 흐름과 관점

본고에 대한 평가

건축의 구조, 재료, 장식에 있어서의 변화

건축기술자의 변화

잡거지 한성에 있어서 외국인 영역의 변화

건축과 도시의 복고, 중국화(中國化), 일본화(日本化), 서양화

본고의 한계와 향후 과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