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정약용의 철학사상과 체제개혁론 (민족문화연구총서145)
정약용의 철학사상과 체제개혁론 (민족문화연구총서145)
저자 : 전성건
출판사 :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출판년 : 2014
ISBN : 9788971551561

책소개

정약용이 구상한 체제개혁은 유학이 제시하는 경학과 경세학의 두 측면에서 모두 행사의 추구를 고려한 발상이었다. 그는 육경사서를 재해석함으로써 고례의 원형을 복원해내고, 거기에 다시 현실적 상황을 적용하여 조선왕조의 새로운 예치질서 모형인 일표이서를 완성시켰다. 이는 당대의 이념과 현실의 중추였던 성리학에 대한 유학 내부에서의 비판과 계승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향촌주도형 예치질서이건 국가주도형 예치질서이건 그것이 제도로서 정착된 이후에는 역사가 보여주듯이 언제나 경화(硬化)·변질(變質)의 과정을 겪게 된다. 정약용과 주희의 문제의식은 다 거기에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구상하고 기획한 학문체계와 예치질서는 이념형으로서 완전한 것이 아니라 그들 각각이 경험한 시대정신을 반영한 결과물이라는 점을 기억하고, 이들의 기획을 유교세계의 완성을 위한 각각의 제안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정약용이 구상한 체제개혁은 유학이 제시하는 경학과 경세학의 두 측면에서 모두 행사의 추구를 고려한 발상이었다. 그는 육경사서를 재해석함으로써 고례의 원형을 복원해내고, 거기에 다시 현실적 상황을 적용하여 조선왕조의 새로운 예치질서 모형인 일표이서를 완성시켰다. 이는 당대의 이념과 현실의 중추였던 성리학에 대한 유학 내부에서의 비판과 계승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향촌주도형 예치질서이건 국가주도형 예치질서이건 그것이 제도로서 정착된 이후에는 역사가 보여주듯이 언제나 경화(硬化)·변질(變質)의 과정을 겪게 된다. 정약용과 주희의 문제의식은 다 거기에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구상하고 기획한 학문체계와 예치질서는 이념형으로서 완전한 것이 아니라 그들 각각이 경험한 시대정신을 반영한 결과물이라는 점을 기억하고, 이들의 기획을 유교세계의 완성을 위한 각각의 제안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서론



제2장 예치에 대한 주희와 정약용의 문제의식



제3장 정약용의 경학적 토대와 철학적 기반



제4장 정약용의 체제개혁 구상1: 가례



제5장 정약용의 체제개혁 구상2: 방례



제6장 결론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