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
저자 : 홍성태
출판사 : 진인진
출판년 : 2019
ISBN : 9788963474083

책소개

환경 생태를 중심으로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 문제에 천착해 온 중견 사회학자인 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홍성태 교수의 저작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가 발간되었습니다. 국립제주대학교 SSK연구단의 ‘위기와 전환 총서’ 4권으로서 발간된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는 저자가 환경생태 문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1998년 이래 발표한 18건의 논문을 분류하여 집대성한 저작집입니다.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는 종래 정보사회학이나 군산복합체, 안전 등 현대 산업사회의 부작용에 한정되던 문제의식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조우하게 된 환경생태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책으로서, 논문이 발표된 시기에 진행되던 한국사회의 주요이슈들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대안 제시를 관찰해 볼 수 있으며, 이는 한국사회학이 생태문제를 다루는 방식의 진화과정을 보여주는 기록으로써 성격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저자는 현대 인류가 구축한 가장 이상적인 사회체제를 ‘복지주의’사회로 상정하고 있으며, 복지주의 사회가 지속가능한 형태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기존 산업사회가 결여하고 있는 환경생태에 대한 고려를 더한 ‘생태복지국가’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통해 동북아에서 민주국가로서의 발전경로를 밟고 있는 한국사회가 파괴적인 토건국가 상태에 있음을 경고하면서, 담대한 전환을 통해 ‘생태복지국가’를 지향하는 발전경로를 택해야 하는 근거를, 21세기 초에 진행된 여러가지 사례와 시민운동의 성과를 통해 제시하고 있습니다.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는 총18편의 논문으로서, ‘생태복지국가의 전망’, ‘생태정의와 생태문화사회’, ‘4대강사업’과 생태위기의 극단화, ‘공동체와 생태적 전환’ 등 4개의 대 주제로 구분하여 저자의 문제의식과 실천적인 모색을 설파하고 있습니다.
무분별한 산업화와 토건개발로 인해 발생한 미세먼지, 플라스틱 폐기물, 기후 불안정은 이제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불편을 초래하는 위기요인이 되고 있으며, 거시적으로는 ‘지구’라는 행성이 더 이상 ‘지탱가능’하지 않은 위기에 도달하고 있다는 경고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거대한 전환의 지향점으로 ‘생태복지국가’를 제시한 저자의 치열한 문제의식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 생태적 전환을 위해 5

제1부 생태복지국가의 전망 9
제1장 생태위기와 생태론적 전환 11
제2장 생태복지의 의미와 과제 43
제3장 한국 사회의 발전과 생태적 복지국가 61
제4장 생태위기와 미국의 책임과 대응 97

제2부 생태정의와 생태문화사회 123
제5장 생태위기와 세대정의 125
제6장 생태문화사회와 사회운동 155
제7장 생태문화적 개발의 과제와 전망 181
제8장 동계올림픽 3수 도전과 강원도의 미래 201
제9장 용산 미군기지를 용산 생명의 숲으로 219

제3부 ‘4대강 사업’과 생태위기의 극단화 241
제10장 이명박 운하와 문화 대파괴 243
제11장 ‘4대강 살리기’와 농업 문화의 대위기 263
제12장 토건국가의 환상, ‘4대강 죽이기’ 283
제13장 한국의 물 위기 297
제14장 파괴토건국가를 생태복지국가로! 323

제4부 공동체와 생태적 전환 353
제15장 지역발전과 공동체운동 355
제16장 시민사회와 생태주의 교육 393
제17장 사회운동의 생태적 전환과 연대 427
제18장 생태복지국가 연대의 형성 447

결론 -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 46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