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나 좋자고 하는 일인데요 (회사가 아닌 나에게 충성하는 일잘러 7인의 이야기)
나 좋자고 하는 일인데요 (회사가 아닌 나에게 충성하는 일잘러 7인의 이야기)
저자 : 고재형
출판사 : 뜨인돌출판사
출판년 : 2023
ISBN : 9788958079552

책소개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일터를 선택한 사람에게는
어떤 건강한 마음이 깃들어 있을까?”
2030을 위한 진로 인터뷰집 『나 좋자고 하는 일인데요』

뜨인돌출판사에서 일과 진로를 고민하는 2030을 위한 인터뷰집 『나 좋자고 하는 일인데요』를 출간했다. 이 책은 수많은 문과생을 울리고 웃겼던 페이스북 페이지 ‘문과생존원정대’ 운영자이자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콘텐츠 기획자 고재형의 두 번째 프로젝트로, 이제는 문과생을 넘어 자신의 삶을 가꾸어 나가는 데 열과 성을 다하는 ‘요즘 것’에게 초점을 맞춘다. 세상의 기준과 잣대에 자신을 우겨 넣고 싶지 않다면, 지금까지의 성취를 모두 내려놓고 새로운 분야로의 도전을 앞두고 있다면,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이라는 선택의 갈림길에서 고민하고 있다면 이 책을 펼쳐 보자. 당신과 비슷한 모양으로 반 발자국 앞서 나가고 있는 7인의 이야기에서 이정표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생에는 때론 나보다 반 발자국 정도만
앞서 있는 사람들의 조언이 필요한 순간이 있다.”
자기 인생의 주도권을 손에 쥔 일잘러 7인과의 대화

코로나19라는 기나긴 터널을 통과하면 따사로운 햇빛을 맞을 줄 알았는데, 현실은 잔인하고 지독했다. 언젠가는 활짝 필 것이라 믿으며 소중하게 품었던 일과 직업에 대한 꿈은 차디찬 현실 앞에서 맥없이 고꾸라질 것만 같다. 겨우겨우 일으켜 세우더라도, 자신이 뿌리 내린 곳이 꿈꾸던 곳이라는 보장도 없다. 직장인 4명 중 1명만이 자신이 다니는 직장에 만족한다는 어느 설문 조사만 봐도 그렇지 않은가. 그렇다면 우리는 이쯤에서 질문 하나를 던지게 된다. ‘3명이 불행할 때, 만족하고 있는 1명은 과연 누구일까?’
이 책은 불온한 시대에 자족하며 사는 그 1명을 찾아 나선 탐방기이자 집요한 취재기이다. “인터뷰를 하는 내내, 나는 어떤 믿음에 균열이 가는 것 같았다. 가장 만족스럽게 회사 생활을 하는 영혼들은 오히려 회사에 가장 충성하지 않는, ‘나 좋자고 사는’ 사람들이었다.”(9쪽)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AI 사업개발자로 일하는 ‘김자현’은 자신의 꿈을 위해 회사를 활용하며, 회사와 자신이 대등해야 건강한 관계가 형성된다고 믿었다. 네이버에서 엔터 콘텐츠 기획자로 일하는 ‘이가은’은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 직업을 세 번이나 바꿨다. 컬리(마켓컬리)에서 검색/추천 서비스 개발자로 일하는 ‘정보현’은 타전공생으로서 IT 업계를 둘러싼 거대한 장벽을 허무는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역할을 꿈꿨다. 이들 외에도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콘텐츠 매니저 ‘송수아’, 우아한형제들 프로덕트 매니저 ‘권자경’, PRIZM 음악 콘텐츠 기획자 ‘조혜림’ 전) 버킷플레이스(오늘의집) MD ‘김미리’의 내 일을 찾아 나가는 뿌듯한 여정이 페이지를 가득 채우고 있다.
가장 만족스럽고 행복하게 회사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회사를 종착역이 아닌 환승역으로 대하며 꿈을 품고 전진하는 사람들이었다. 회사의 크고 작음도, 월급의 많고 적음도, 워라밸도 ‘좋아하는 일’보다 중요하지 않았다. 비슷한 지점에서 출발한 이들이 우리보다 반 발자국 더 앞서 있는 이유다. 늘 똑같은 고민과 굴레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변화시키고 싶은가? 그렇다면 이들의 반 발자국에 주목하자.

“눈물 좀 흘리면 그만이죠.”
불안과 방황을 변화의 동력으로 삼은 모두를 위한
응원의 주문 ‘나 좋자고 하는 일인데요!’

그 어느 때보다도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시대에서 살고 있지만, 정작 ‘내 것’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손안에 쥔 작디작은 내 것을 만들기 위해 그동안 얼마나 많은 타협과 선택으로 실패를 피해 왔는지 모른다. 그런데 이 타협과 선택이, 오히려 내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에서 더 멀어지게 만들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타협과 선택을 잠시 내려놓고, 불안과 방황이라는 거대한 파도 위에 올라타기를 권한다. “인터뷰를 다 하고 나니 그들의 공통점이 보인다. 거침없이 자신의 커리어를 써 내려가는 것 같은 멋진 사람들에게도 불안과 방황이 있었다. 하지만 그 불안과 방황은 ‘내가 세상이 원하는 모습이 아니면 어쩌지?’에서 오는 불안과 방황이 아니라 ‘지금 이대로 살면 내가 원하는 삶을 얻지 못하는 게 아닐까?’에서 오는 불안과 방황이었다. 그들이 원했던 것은 세상에 곱게 잘 끼워 맞춰진 모습이 아니라, 본인이 원하는 삶의 그림에 본인이 원하는 일터와 직업을 끼워 맞춘 것이었다. 아, 회사에 뽑히길 바라지 않고 회사를 고르는 마음은 저기에서 오는구나. 내 것을 갖고 싶은 마음에서부터 오는 불안은 건강한 동력이 되는구나.”(238쪽) 불안과 방황을 동력으로 삼아 자신의 삶에 변화를 일으키려는 모두에게, 응원의 주문을 걸어 본다. ‘나 좋자고 하는 일인데요!’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프롤로그

김자현(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사업개발자) | “이기적인 마음으로 요즘 시대에 충성하는 거죠.”
송수아(비바리퍼블리카 콘텐츠 매니저) |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을 양손에 쥐고, 오늘을 사는 거죠.”
이가은(네이버 엔터 콘텐츠 기획자) | “익숙한 자리에서 벗어날 때마다 더욱 강해졌어요.”
권자경(우아한형제들 프로덕트 매니저) | “유연함과 노련함으로 보이지 않는 일을 끌어안아요.”
정보현(컬리 검색/추천 서비스 개발자) | “경험 위에 쌓은 새로운 경험이 더 높은 곳으로 이끌어 줄 겁니다.”
조혜림(PRIZM 음악 콘텐츠 기획자) | “실패를 딛고 좋아하는 일을 찾는 여정을 계속하고 싶어요.”
김미리(전) 버킷플레이스 커머스 MD) | “더 오래가기 위해, 일과 삶의 경계를 느슨하게 구분 지어요.”

에필로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