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정부 창업과제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ChatGPT를 활용한)
정부 창업과제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ChatGPT를 활용한)
저자 : 이현상
출판사 : 내하출판사
출판년 : 2024
ISBN : 9788957175651

책소개

1인 1창업시대 : 대학생·직장인·예비창업자·교육기관을 위한 -
◾ 세상에서 가장 쉽게 설명한 사업계획서 작성 요령
◾ 순차적이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서 양식
◾ 다양하고 구체적인 기술과 트렌드의 예시 활용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정부 과제는 한정된 자원으로 지원을 하다보니 경쟁자가 많을수록 떨어질 확률이 높다.
하지만 경쟁력이 아닌 사업계획서를 제대로 작성하지 못해 떨어지는 경우도 빈번하다.

정부 과제는 주어진 포맷의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사업계획서가 생소하여 창업 아이템과 비즈니스 모델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ChatGPT의 프롬프트를 함께 공유하면서 사업계획서를 제대로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It’s Me 창업 시리즈
① ChatGTP를 활용한 정부 창업과제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② ChatGTP를 활용한 창업 아이템과 비즈니스 모델 구축하기
③ 창업경험을 바탕으로 이론을 접목한 기업가정신
④ ChatGTP를 활용한 실전 스타트업 프레임워크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시작하는 글
It’s Me 창업 시리즈
창업의 필수적인 조건 - 사업계획서
ChatGPT를 컨설팅 도구로써 활용

CHAPTER 01. 창업 정부과제 개요
01 누구나 할 수 있는 창업 정부지원사업
① 지원 사업의 다양성
② 지원 대상과 조건
③ 지원사업의 신청과 선정
④ 지원사업의 활용
⑤ 후속 지원
02 정부과제 창업의 현실적 이점
03 창업 정부과제 찾는 방법
04 창업 정부과제의 목적(왜 창업 지원사업이 있을까?)
05 창업 과제와 R&D과제의 차이점
06 창업과제 절차

CHAPTER 02. 사업계획서 개요
01 공고문 해석하기
02 사업계획서의 목적
03 사업계획서 기본 구조의 이해
04 사업계획서의 평가 포인트(매출, 고용, 수출, 투자)

CHAPTER 03. 일반 개요
01 예비창업패키지
① 신청 현황
② 일반 현황
③ 창업 아이템 개요(요약)
02 청년창업패키지
① 일반 현황
② 사업화 과제 개요(요약)

CHAPTER 04. Problem (고객의 문제)
01 개발 동기 및 추진경과
① 내적/외적 동기(고객 문제에 대한 절실함/사회적 필요성)
② 추진 경과(사업에 대한 의지 및 준비)
③ 해결방안(솔루션의 실현 가능성)
④ 개발 필요성(국내외 시장 검증)
⑤ 개발 목적(창업 아이템의 가치)
02 아이템의 목표시장 분석
① 고객 특성(고객 세분화 및 시장 세분화)
② 목표시장 분석(시장 분석)
③ 경쟁 분석(경쟁력 분석 및 확보 방안)
④ 향후 전망(시장의 전망, 지속 가능성 및 혁신성)

CHAPTER 05. Solution (솔루션)
01 개발 방안/진행(준비) 정도
① 최종 산출물(최종 산출물의 평가 기준)
② 개발 방법(개발 방법의 이해도)
③ 개발 단계 및 진행 정도(협약기간 내 개발 가능성)
④ 기술보호계획
02 창업 아이템의 차별화 방안
① 경쟁제품 비교(솔루션의 차별화)

CHAPTER 06. Scale-Up (성장 전략)
01 사업화 방안 _216
① 비즈니스 모델(구체적인 수익모델)
② 목표시장 진출방안(시장 진입 전략)
③ 3년간 중기 로드맵(로드맵과 본 사업의 연계성)
④ 협약 기간 내 목표 및 달성 방안(협약 기간 내 목표 달성 가능성)
02 자금 소요 및 조달 계획 _241
① 자금 소요 계획(자금 분배 적절성)
② 자금 조달 계획(사업 지속 능력)

CHAPTER 07. Team (내부 역량)
01 대표자 현황(대표자 경험 및 역량)
02 팀내 보유역량(내부 역량)
03 업무 파트너 현황 및 역량(파트너 네트워크의 보유 역량)

CHAPTER 08. 사업계획서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01 TRL 지표
02 당신이 심사위원이라면,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① 심사위원의 구성
② 평가 기준의 이해
③ 심사위원은 기술 전문가가 아닌 사업 전문가이다
03 제목(과제 명)을 어떻게 써야 할까?
① 제목 작성 전 사전 준비
② 핵심 키워드의 선정
③ 제목의 구조화
④ 명확성과 간결성 유지

04 외주에 대한 이해
① 외주의 필요성과 장단점
② 외주 업체 선택 시 고려사항
05 시제품과 양산품은 다르다
① 시제품의 중요성
② 양산품의 중요성
③ 시제품과 양산품의 차이에 따른 자금 할당의 중요성
06 우리 제품은 어떤 인증이 필요한지 꼭 확인하고 개발을 시작하자
07 ESG에 대한 준비
① ESG의 정의
② ESG의 중요성
③ 스타트업을 위한 ESG 준비
08 사업계획서의 시각적 요소
① 그래픽 및 차트 활용의 필요성
② 그래픽 및 차트 활용 방법
09 가출원
10 진짜 멘토를 만들자
① 멘토의 필요성
② 정부 및 기관의 ‘멘토링 프로그램’의 한계
③ 필자에게 멘토의 의미
④ 멘토 찾는 방법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