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커뮤니케이션학사
한국 커뮤니케이션학사
저자 : 차배근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7
ISBN : 9788952118363

책소개

한국 커뮤니케이션학의 성립과 발전 과정 등에 관한 연구, 한국커뮤니케이션학사(學史)

‘커뮤니케이션학사’는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세기 초반부터 서양의 신문학,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커뮤니케이션학 등을 차례로 수용해서 신문학ㆍ신문방송학ㆍ언론학ㆍ언론정보학ㆍ미디어학ㆍ언론정보영상학ㆍ광고홍보학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연구·교육해 왔다. 이 책 제1장에서는 서양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와 교육의 역사부터 간단히 살펴본 뒤에, 제2장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커뮤니케이션학이 언제부터 어떻게 연구ㆍ교육되기 시작하여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 역사를 4개 장(章)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커뮤니케이션학사(學史)’란 ‘커뮤니케이션학’이라는 학문이 언제부터 어떻게 연구ㆍ교육되기 시작하여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즉 커뮤니케이션학의 성립과 발전 과정 등에 관한 연구 분야이다.

‘커뮤니케이션학사’는 커뮤니케이션 전공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커뮤니케이션학사를 통하여 우리가 공부하는 커뮤니케이션학의 역사와 본질을 더 정확히 알 수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문제들과 그 해결방법 등도 제시 받을 수 있고, 이미 해결된 연구문제를 되풀이해 연구해야 하는 수고나 번거로움도 덜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학(신문학ㆍ신문방송학ㆍ언론학ㆍ언론정보학 등)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와 교육이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되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알려 주기 위하여 출판하게 되었다. 이 책을 쓰게 된 또 하나의 주요 이유는, 저자가 그간에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학사에 관하여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오면서 수집해 놓았던 자료들을 정리해 후학들에게 물려주고 싶은 욕심 때문이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5

제1장 서론: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성립·발전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수사학의 생성·발달 15
1. 설득에 관한 관심과 수사학의 탄생 15
2. 로마 시대와 중세기에서 수사학의 발달과 쇠퇴 29
3. 문예부흥 시대의 도래와 수사학의 부흥·발달 32
4. 미국에서도 수사학 연구·교육과 스피치학으로 발전 37

신문·잡지에 관한 연구·교육의 시작과 신문학의 성립 41
1. 서양에서 신문의 기원과 초기의 각종 신문들 41
2. 주요 국가들에서 신문·잡지 등에 관한 연구 시작 58
3. 미국에서 저널리즘학의 성립과 발전 81

신문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발전 104
1.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104
2. 저널리즘학계의 반성과 매스컴학으로의 확대·발전 131
3. 스피치학도 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으로 재정립 138
4. 컴학으로 매스컴학과 스피치컴학 통합·발전 142
5.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실태와 현황 147

제2장 한국에서 신문에 관한 학문적 관심과 연구의 시작
근대신문의 출현과 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의 대두 163
1. 근대신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의 시작 163
2. 유길준의 “신문에 관한 해설문”170
3. 「한성순보」의 출현과 그 영향 177
4. 유길준, 『서유견문』에서 또 신문론 전개 184
5. 「한성순보」 정간 후 다시 「한성주보」 발간 195

최초의 민간지 「독립신문」과 신문에 대한 인식의 제고 202
1. 창간사에서 밝힌 「독립신문」의 기본방침 202
2. 논설을 통해 신문의 주요 기능 설명 206
3. 신문에 대한 백성들의 인식에 미친 효능 208
4. 「독립신문」에 대한 정부의 탄압과 폐간 210

민간신문 시대의 개막과 신문에 관한 연구의 발전 213
1. 「독립신문」 창간 이후 민간신문 속출 213
2. 민간신문들의 계속 출현과 백가쟁명 216
3. 언론단체의 등장과 신문에 관한 토론 218

제3장 일제강점기 신문학에 관한 연구·교육 실태
1905-1919년: 민족지의 소멸과 신문학 연구의 침체 223

1920-1929년: 민족지의 소생과 함께 신문학 연구도 부활 224
1. 일제 통치 아래서도 언론 연구 꽃피워 224
2. 한국 최초 신문학 저서 『신문학』 간행 227
3. 신문학 박사 김현준의 독일신문학 소개 240
4. 전문학교에 최초로 신문학 관계 과목 개설 249

1930-1945년: 신문학 연구의 계속적 활기와 된서리 258
1. 각종 언론전문지의 발행과 논문 발표 258
2. 종합지에도 신문학 관계 학술논문 다수 발표 268
3. 1930년대에도 신문학 관계 저서 잇달아 출간 270
4. 신문학과 설치의 제안과 좌절 274
5. 1940년대 전반 일제 말기 신문학 연구의 고사 281

제4장 광복 후 신문학의 발전과 매스컴학으로의 확대
1945-1949년: 광복과 신문학 교육·연구의 재개 285
1. ‘신문과학연구소’부터 설립 285
2. 기자양성기관 조선신문학원의 설립 291
3. 「신문평론」의 창간과 신문학 연구 촉진 302

1950년대: 대학에서 신문학 교육과 연구의 시작 308
1. 대학에 신문학 강좌와 신문학과 개설 308
2. 서울신문학원(조선신문학원)도 기자양성교육 계속 316
3. 신문학 학술단체 ‘한국신문학회’의 창립 318
4. 신문학 관계 저서들에 나타난 주요 내용 321
5. 신문학 관계 논문들에 나타난 주요 동향 332

1960년대: 매스컴학으로 신문학의 확대·발전 336
1. 대학들이 다투어 신문학 관련 학과 설치 336
2. 기존의 신문학과와 서울신문학원의 사정 343
3. 대학원에서도 신문학 전공 석사과정 교육 시작 347
4. 신문학 관련 연구소의 설립과 연구활동 351
5. 한국신문학회의 사정과 각종 학술활동 360
6. 신문학 내지 매스컴학 교육·연구의 주요 동향 368

제5장 매스컴학에서 다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발전
1970년대: 매스컴학의 발전과 커뮤니케이션학으로 확대 387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의 계속된 증가 387
2. 외국 석·박사 젊은 학자들의 대거 참여 393
3. 한국신문학회에서 각종 학술활동의 활발한 전개 402
4. 197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주요 동향 408

1980년대: 정보화 사회의 대두와 커뮤니케이션학의 부상 427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와 교수진의 급증 427
2. 한국신문학회는 ‘한국언론학회’로 변모?발전 435
3. 198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주요 동향 442

199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다양·다원화 446
1.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의 기하급수적 증가446
2. 단일 학회 시대에서 여러 학회 시대로 변모·발전 457
3. 1990년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교육의 주요 동향 465

참고문헌 470
찾아보기 493
Abstract 501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