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의 언어 민속지 (경상남북도 편)
한국의 언어 민속지 (경상남북도 편)
저자 : 왕한석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2
ISBN : 9788952113795

책소개

이 책은 한국 사회의 전통적이고 특징적인 언어문화의 주요 양상을 전면적으로 발견ㆍ기술하려는 『한국의 언어 민속지』 연구의 셋째 권으로 「경상남북도 편」이다. 연구 대상 지역은 경남 통영시 사량도(蛇梁島)(어촌)와 경북의 선산(善山) 지역(반촌)이다. 본문에서는 이 두 지역에서 발달해 온 한국 언어문화의 다채로우면서도 살아 있는 실제의 모습을 언어 현지조사에 바탕하여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기술ㆍ분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부록으로 실은 경북 영해(寧海) 지역의 친척용어 목록은 한국 친척용어의 가장 정치하면서도 전면적인 목록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영남 지역의 언어문화에 대한 광범하면서도 깊이 있는 기술지이자, 한국 언어인류학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여는 작업이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의언어민속지-경상남북도편

한국 언어 민속지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연
《경상남북도 편》 전격 출간

이 책은 한국 사회의 전통적이고 특징적인 언어문화의 주요 양상을 전면적으로 발견ㆍ기술하려는 『한국의 언어 민속지』 연구의 셋째 권으로 「경상남북도 편」이다. 연구 대상 지역은 경남 통영시 사량도(蛇梁島)(어촌)와 경북의 선산(善山) 지역(반촌)이다. 본문에서는 이 두 지역에서 발달해 온 한국 언어문화의 다채로우면서도 살아 있는 실제의 모습을 언어 현지조사에 바탕하여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기술ㆍ분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부록으로 실은 경북 영해(寧海) 지역의 친척용어 목록은 한국 친척용어의 가장 정치하면서도 전면적인 목록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영남 지역의 언어문화에 대한 광범하면서도 깊이 있는 기술지이자, 한국 언어인류학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여는 작업이 될 것이다.

●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한 살아 있는 토착 언어의 보고
왕한석 교수(서울대학교 인류학과)가 한국 각 지방의 토착어의 활용과 문화를 주제로 연구해온 《한국의 언어 민속지》 작업의 셋째 권인 《경상남북도 편》이 출간되었다. 왕한석 교수는 한국 사회와 문화, 언어의 변화 양상을 깊이 연구해온 언어인류학자로, 《경상남북도 편》에서는 통영시 사량도(蛇梁島)와 경북 서부의 선산(善山)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현지조사를 통해 발굴한 자료의 양이 방대할 뿐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새로운 자료를 발굴, 수록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부록으로 실은 《영해(寧海) 지역의 친척용어 목록》은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필자 왕한석 교수가 연구하여 발표한 바 있는 경남 함양군 개평리(介坪里)의 친척용어 목록과 함께, 이제는 쉽게 접하기 어려워진 한국 친척용어의 정치하면서도 전면적인 목록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치밀한 조사와 계통적 분류를 통한 체계화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의 ‘통영시 사량도의 언어문화’는 경남 남해안 지역의 어촌 마을을 연구대상으로 한 언어 민속지이고, 후반부의 ‘선산 지역의 언어문화’는 경북 서부 지역의 반촌(班村)을 연구대상으로 한 언어 민속지이다. 조사대상지에 대한 방대한 기초정보를 확보, 검토하는 과정에서부터 조사지를 선정하고, 조사기간 동안 그 지역에 체류하며 수행한 연구의 결과가 이 한 권의 책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대상지에서 연구ㆍ조사한 결과를 지명, 생태환경의 어휘적 구분, 친척용어체계, 호칭과 존댓말 체계, 특수한 상황변이어(아기말, 짐승을 부르는 말, 의례관련표현), 욕과 ‘우시개’ 등으로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수록되어 있다. 전통적인 국어학계에서도 형식적 구조의 시각에서 벗어나 언어를 보다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연구가 아직 그리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에서, 그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몇 주제에 대해서는 보다 분석적인 논의를 전개하여 일반화를 시도하였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선산 ‘사일 지방’에서의 현지조사는 경북 지방의 한 반촌의 언어문화 탐구라는 일반적 성격을 넘어서, 노래는 물론이고 ‘성’에 관한 우스갯소리 등 전통적인 언어예술에 대한 다수의 흥미롭고 새로운 자료를 많이 확보하여 수록한 점은 자료 면에서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 본문에서 ]
▶ 직접 채록하여 수록한 풍부한 속담, 관용적 표현과 ‘우시개’
▶ 부계친(父系親), 모계친(母系親), 부계친(夫系親), 처계친(妻系親), 사돈관계(査頓關係)의 다섯 범주로 구분하여 제시한 친척용어목록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장-영남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

제1장 통영시 사량도(蛇梁島)의 언어문화

연구의 과정
1. 지명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

1) 바람의 구분법
2) 비, 눈, 달, 흙의 구분법
3) 논, 밭, 작물, 소의 구분법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I
1) 바닷물의 구분법
2) ‘바다 공간’의 구분법
3) 고기의 부분 명칭
4) 어류의 구분법
5) 여타 해산물의 구분법
6) 배의 종류와 어로법
4. 친척용어체계
1) 친척용어의 목록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3) 친척용어의 형태 분화와 사용 방식
4) 기타 친척 관련 어휘 및 표현
5. 호칭체계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
2) 의사친척호칭의 사용
3) 특이 호칭어
4) 부부 간의 호칭 및 지칭
6. 존댓말의 체계
1) 존댓말에 관한 민간 명칭
2) 말단계의 조직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4) 존댓말의 사용 규칙
7. 특수한 상황변이어
1) 아기말
2) 짐승을 부르는 말
3) 의례어와 의례 관련 표현
8. 말의 주요 범주와 욕 및 ‘우시개(소리)’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 및 표현
2) 욕
3) 동물의 은유
4) ‘우시개(소리)’
9. 언어예술 I: 속담 및 관용적 표현
1) 바다 환경과 이 지역에 관한 ‘옛(날)말’
2) ‘상소리’ 표현의 ‘옛(날)말’
3) 일반적인 ‘옛(날)말’
10. 언어예술 II: ‘옛날이바구’

제2장 선산(善山)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의 과정
1. 지명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

1) 바람의 구분법
2) 비, 눈, 흙의 구분법
3) 논, 작물, 소의 구분법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I
1) 산에 대한 민간 지각
2) 야생 나물의 종류
3) 야생 열매(및 뿌리)의 종류
4) 야생 버섯의 종류
5) 기타 식용 식물
4. 친척용어체계
1) 친척용어의 목록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3) 기타 친척 관련 어휘 및 표현
4) 친척용어의 형태 분화와 사용 방식
5. 호칭체계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
2) 택호의 작명
3) 택호의 사용 방식
4) 호칭어의 변화
6. 존댓말의 체계
1) 존댓말에 관한 민간 명칭
2) 말단계의 조직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4) 존댓말의 사용 규칙
7. 말의 주요 범주와 특수한 상황변이어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 및 표현
2) 아기말
3) 짐승을 부르는 말
4) 의례어와 ‘관용 표현’
8. 언어예술 I
1) 욕과 ‘사람의 비유’
2) 새 울음소리
3) 속담 및 관용적 표현
9. 언어예술 II
1) 노래
2) ‘우시개(소리)’
3) ‘잇날이얘기’

부록-영해(寧海) 지역의 친척용어 목록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