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산성비
산성비
저자 : 김준호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07
ISBN : 9788952107848

책소개

독자들이 어렵지 않게 산성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쉽게 서술한 책으로, 산성비에 대한 국내 연구 결과와 산성비에 연유한 토양과 삼림의 훼손에 관한 연구 결과 중에서 신뢰가 가는 자료를 많이 인용하고, 내용의 서술은 원 논문에 근거하였다.

이 책은 모두 1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산성비를 이해하기 위해 빗물에 관한 기초를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에서 강하까지의 과정을 개관하였다. 제3장에서는 산성비의 특성과 한국 및 세계의 산성비 실상과 미래를 전망하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산성비는 가장 심각한 환경 훼손의 하나다. 이 책에서는 우선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에서 강하까지의 과정을 개관하고, 산성비의 특성과 아울러 서울, 한국 및 세계의 산성비 실상과 미래를 전망한다. 산성비에 의한 토양 및 삼림의 훼손과 우리나라에 부하하는 과다한 대기질소강하물이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알아본다. 또한 물의 산성화에 따른 민물고기와 기타 수서생물의 피해 상태와 피해 기작, 산성화에 의한 물질의 부식과 사람의 건강을 다루며, 산성화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실험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프롤로그 ─ 고마운 비, 사악한 비

1. 빗물 이야기
1.1 베일에 싸인 빗물
1.2 환경과 빗물
(1) 청정지역과 오염지역 (2) 바닷물의 영향
(3) 먼지의 영향 (4) 질소화합물의 변동
1.3 건성강하물과 습성강하물
1.4 안개의 신비
1.5 수관통과수와 수간유하수

2. 산성강하물의 배출에서 강하까지
2.1 산성비와 대기오염물질
2.2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2.3 대기세척작용
2.4 대기오염물질의 산화
(1) 황산화물 (2) 질소산화물
2.5 대기오염물질의 분산, 수송 및 강하
(1) 분산 (2) 수송 (3) 강하
(4) 굴뚝 높이의 효과
2.6 모델에 의한 배출에서 강하까지의 전망
(1) 모델의 개발 (2) 모델의 종류 (3) 모델에 의한 전망

3. 산성비의 실상
3.1 산성비라는 말
3.2 산성비란 무엇인가?
3.3 pH를 측정하는 잣대
(1) 산성과 염기성 (2) pH 단위
3.4 산성비의 화학성분
(1) 산성비 속의 이온들 (2) 음이온과 양이온 (3) 황산이온
(4) 질산이온 (5) 염소이온 (6) 양이온 (7) 암모늄이온
3.5 서울의 산성비
3.6 한국의 산성비
3.7 도시와 농촌의 산성비 시차
3.8 세계의 산성비
3.9 이산화황 배출의 전망
(1) 한국 (2) 아시아 (3) 유럽 (4) 미국
(5) 배출량 저감 노력
3.10 질소산화물 배출의 전망
3.11 세계의 산성비 전망

4. 토양의 산성화
4.1 빗물과 토양
4.2 토양단면의 특성
4.3 토양의 풍화
(1)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풍화 (2) 산성비와 토양의 풍화
(3) 화강암 토양과 석회암 토양의 풍화 (4) 토양의 풍화속도
4.4 양이온교환과 산성비
4.5 염기포화도와 산성비
4.6 토양의 완충능과 산성비
4.7 토양의 산성화
(1) 저절로 일어나는 산성화 (2) 산성비에 의한 산성화
(3) 토양 산성화의 예
4.8 토양 산성화의 과거, 현재 및 미래
4.9 수도권(서울)의 토양 산성화
4.10 한국의 토양 산성화
(1) 척박해진 토양 (2) 산성비 피해를 받은 외국의 토양
4.11 산성토양에서의 식물의 적응
4.12 토양 내 알루미늄 독성
(1) 토양 속의 알루미늄 (2) 육상식물에 대한 알루미늄 독성

5. 삼림의 쇠퇴와 반작용
5.1 잔뿌리의 상향생장
5.2 나이테 생장의 감소
5.3 삼림쇠퇴
5.4 수관의 산도 중화 기능
(1) 삼림생태계의 물질순환 (2) 빗물과 수관통과수의 pH 비교
5.5 수관의 이온 선택 기능
(1) 칼륨 세탈 기능 (2) 질산이온 흡수 기능
5.6 부식질층의 중화 기능
5.7 임상 토양층의 기능
5.8 삼림분수계의 이온 농도 조절
5.9 빗물과 계류수의 이온 농도 비교
(1) 광릉시험림의 예 (2) 오리건 주 천연림의 예
5.10 군락구조의 변화
5.11 박새의 개체군 조절

6. 삼림의 질소포화
6.1 한국의 대기질소강하량
(1) 습성질소강하량 (2) 총질소강하량
6.2 삼림의 질소보유
6.3 삼림의 질산이온 유출
(1) 한국의 삼림 (2) 외국의 삼림
6.4 질산이온 유출에 미치는 환경요인
(1) 기후와 계절의 영향 (2) 수령의 영향
6.5 질소포화 가설
6.6 질소포화에 따른 반응
(1) 토양의 pH 저하 (2) 삼림의 생리활성과 물질생산의 저하
6.7 질소포화 토양의 질소순환
6.8 대기질소강하물의 분배
6.9 삼림토양의 메탄 및 아산화질소 대사
(1) 메탄 흡수의 감소 (2) 아산화질소 배출의 증가
6.10 질소포화에 대한 초본식물의 민감성
(1) 임상식물의 민감성 (2) 질소포화에 약한 C4 식물

7. 물의 산성화
7.1 지표수란 무엇인가?
7.2 빗물과 지표수
7.3 산성수 이야기
7.4 물의 알칼리도와 산도
7.5 지표수의 음이온
(1) 황산이온 (2) 질산이온 (3) 염소이온
(4) 탄산이온과 중탄산이온 (5) 유기산
7.6 지표수의 양이온
(1) 칼슘이온 (2) 암모늄이온
7.7 물 산성화의 과거, 현재 및 미래
7.8 논물의 pH 조절능
(1) 물을 많이 이용하는 벼 (2) 논흙의 산화층과 환원층
(3) 논물의 pH 상승 (4) 질소화합물의 변화
(5) 황화합물의 변화
7.9 산성화에 따른 지하수오염
(1) 칼슘 농도의 증가 (2) 질산이온의 증가

8. 민물고기의 수난
8.1 민물고기의 환경
8.2 민물고기 연구의 동기
8.3 지역에 따른 민물고기의 환경 실태
(1) 훼손된 스웨덴의 지표수 (2) 노르웨이의 민물고기 감소
(3) 핀란드 민물의 특이성 (4) 침엽수림의 피해를 받은 영국
(5) 미국과 캐나다의 지표수 훼손
8.4 수질과 민물고기
(1) 흐트러지는 개체군의 연령분포 (2) 영양가가 낮은 먹이
(3) 민물고기의 생존조건
8.5 산성수에 대한 민물고기의 행동
(1) 연어의 산성수 기피 행동 (2) 갈색송어의 둥지 틀기 행동
8.6 산성수에서의 민물고기의 생식
(1) 정자운동의 저해 (2) 산란행동의 저해
(3) 배 발생의 저해 (4) 내분비의 교란
8.7 산성수의 독성 기작
(1) 아가미의 능동수송 교란 (2) 혈액의 이온평형 교란
8.8 칼슘의 중요성
8.9 수서동물에 대한 알루미늄 독성
(1) 민물고기의 피해 (2) 알루미늄과 pH의 상조효과
(3) 알루미늄과 칼슘의 길항효과 (4) 무척추동물의 피해

9. 산성수와 수서생물
9.1 건강을 해치는 산성수 환경
9.2 미생물의 활성 저하
9.3 식물플랑크톤의 종다양성과 1차 생산성
9.4 동물플랑크톤의 산 민감성
9.5 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 변화
9.6 물의 알칼리도와 무척추동물
9.7 수서곤충이 좋아하는 먹이
(1) 수서곤충의 식성 (2) 꼬마하루살이의 식성
(3) 수서곤충의 알루미늄 농축
9.8 산성수에 대한 수서곤충의 피해 기작
9.9 산성수에 대한 무척추동물의 반응
(1) 계류수의 산성화 실험
(2) 산성수에 반응하는 지렁이의 행동
9.10 산성화와 양서류
(1) 개구리 배 발생의 저해 (2) 도롱뇽의 산 민감성
9.11 산성수와 물새의 번식
(1) 물까마귀 (2) 딱새 (3) 아비새 (4) 황금새
9.12 산성수에 대한 대형수생식물의 적응

10. 물질의 부식과 사람의 건강
10.1 대기오염과 부식
10.2 물질의 부식
10.3 대기부식
(1) 철 (2) 구리와 청동 (3) 아연, 니켈 및 알루미늄
(4) 대리석, 사암, 콘크리트 및 스테인드글라스 (5) 페인트와 옻칠
10.4 산성토양과 산성수 속의 부식
(1) 산성토양 (2) 산성수
10.5 오염가스의 상조효과
10.6 대기오염과 사람의 건강
10.7 건강의 척도
10.8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해
(1) 공기의 질 지침 (2) 이산화황 (3) 이산화질소
(4) 대류권 오존 (5) 미세 먼지
10.9 대기오염에 의한 피해 사례
(1) 중국의 미세 먼지 피해 (2) 유럽의 대기오염 피해

11. 산성화된 생태계의 복원
11.1 언제부터 산성화되었는가?
11.2 삼림생태계의 석회 처리
(1) 돌로마이트 처리 효과 (2) 부식질의 성상과 양의 변화
(3) 질산태질소의 증가 (4) 토양생물의 변화
11.3 산성화된 삼림분수계의 복원
(1) 지표유출수의 산성화 (2) 산성화된 지표유출수의 복원
(3) 산성화된 계류수의 복원
11.4 질소포화 삼림의 복원
11.5 삼림의 석회 처리에 대한 평가
11.6 수서생태계의 산성화와 복원
(1) 캐나다의 호수 복원 사례 (2) 호수 수질의 복원
(3) 호수 생물의 복원
11.7 수서생태계의 석회 처리
(1) 석회 처리 효과 (2) 식물플랑크톤의 증식
(3) 동물플랑크톤의 복원 (4) 무척추동물과 민물고기의 복원
11.8 석회 처리 호수의 재산성화
11.9 수서생태계의 석회 처리에 대한 평가
11.10 생태계 복원의 어려움

에필로그 ─ 과거로부터 배우고 미래를 생각한다

찾아보기(국문)
찾아보기(영문)
Abstract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