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대통령과 국가경영 (이승만에서 김대중까지)
대통령과 국가경영 (이승만에서 김대중까지)
저자 : 김충남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1
ISBN : 9788952107220

책소개

『대통령과 국가경영』의 저자(김충남)는 일관된 잣대로 역대 대통령들의 장단점을 정리한 다음 총체적인 평가를 시도했다. 그리고 한국의 국가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소개함으로써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개선하려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에서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당시의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론 식민통치의 유산과 미군정 3년간을 살펴보고 이어서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차례로 각 대통령에 대한 장별로 정리했으며 각 장의 마지막 절에서는 각 대통령의 리더십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들을 제시했다.

또한 그들의 지도력으로 한국이 어떻게 살아남았으며 어떻게 현대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이승만은 어떻게 공산주의 위협으로부터 나라를 보위할 수 있었는가, 박정희와 전두환은 어떻게 성공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하여 현대국가의 기초를 튼튼히 하였는지, 김영삼과 김대중이 왜 '실패한 대통령' 또는 '제왕적 대통령'이라는 인식을 주게 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반세기에 걸친 역사의 흐름과 국가발전과정을 고찰했을 뿐 아니라 각 대통령이 처했던 도전과 과제, 역사적 사건과 정책을 파헤쳐 각 대통령의 장점과 단점, 성공과 실패를 보여 주고자 했다.
그동안 한국은 안보, 경제, 민주라는 3대 국가목표가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했으며 각 대통령은 대내외 상황과 시대적 요청에 따라 순위를 설정했고 그 결과 신생국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발전을 이룩해냈다.
국가의 성공에는 언제나 뛰어난 지도자들이 있기 마련이며 그런 점에서 역대 대통령들이 역사에 기여한 공헌은 작지 않다고 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의 말
•머리말

제1장
국가건설과 리더쉽
∙불사조의 나라
∙올바른 평가가 요구되는 역대 대통령
∙국가건설 단계의 리더십

제2장
해방 직후의 한국
•일본 식민통치의 유산
•미국 군사정부(1945-1948)

제3장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
•위대한 애국자의 삶과 철학
•대한민국의 건국
•국가건설의 도전
•전쟁 중의 지도력
•국가생존을 위한 외교
•전후복구(戰後復舊)
•민주주의의 시련
•건국과 국가생존의 리더십

제4장
조국 근대화의 지도자 박정희 대통령
•장면 정부의 실패
•혁명가 박정희의 뿌리
•군사정부(1961-1963)
•제3공화국(1963-1972)
•조국 근대화를 위한 경제발전
•경제발전을 위한 외교정책
•제4공화국(1972-1979)
•정권의 쇠퇴
•근대화를 위한 리더십

제5장
위기를 번영으로 바꾼 전두환 대통령
•격동과 혼란의 전환기
•인간 전두환
•제5공화국(1981-1987)
•제2의 경제도약
•시장개척과 올림픽을 위한 전방위 외교
•정부이양의 위기
•재도약을 위한 리더십

제6장
민주화 과도기를 관리한 노태우 대통령
•‘보통사람’ 노태우
•민주화의 험난한 여정(旅程)
•민주화과정의 경제정책
•북방정책
•후계체제를 둘러싼 경쟁
•민주전환기의 리더십

제7장
민주개혁의 열정을 불태운 김영삼 대통령
•민주투사의 삶과 철학
•문민(文民)대통령
•부정부패와의 전쟁
•‘신경제(新經濟)’를 향한 개혁
•북한 핵 위기
•외환위기
•민주개혁의 리더십

제8장
민족통일을 추구한 김대중 대통령
•파란만장했던 김대중의 삶
•위기극복을 위한 정치
•경제위기의 관리
•햇볕정책: 대결에서 포용으로
•영웅에서 레임덕으로
•근본적 변화를 추구한 리더십

제9장
여덟 가지 교훈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