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다큐멘터리와 사실의 재현성
다큐멘터리와 사실의 재현성
저자 : 최현주
출판사 : 한울아카데미
출판년 : 2018
ISBN : 9788946070684

책소개

다큐멘터리,
‘사실’과 ‘허구’의 경계가 무너지다

이 책에서는 다큐멘터리의 탄생과 발전 과정을 초창기부터 가장 최근에 등장한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와 ‘웹 다큐멘터리’ 등 21세기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양상까지 통시적으로 접근했다. 하지만 단지 연대기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다큐멘터리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인 ‘사실의 재현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다큐멘터리의 역사적 변화의 흐름을 고찰했다. 사회적·역사적·기술적 요인들에 의해 다큐멘터리의 가장 핵심적인 키워드인 ‘사실의 재현성’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중요한 것은 다큐멘터리가 이제 ‘사실의 재현’에만 집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기계적이고 표피적인 사실의 재현을 고집하기보다는 오히려 진실을 드러내기 위해서라면 ‘허구적 세계’나 ‘가상의 이미지’까지도 사용할 수 있다는 다각적이고도 폭넓은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다큐멘터리와 픽션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며 다큐멘터리의 정체성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다큐멘터리,

‘사실’과 ‘허구’의 경계가 무너지다



이 책에서는 다큐멘터리의 탄생과 발전 과정을 초창기부터 가장 최근에 등장한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와 ‘웹 다큐멘터리’ 등 21세기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양상까지 통시적으로 접근했다. 하지만 단지 연대기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다큐멘터리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인 ‘사실의 재현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다큐멘터리의 역사적 변화의 흐름을 고찰했다. 사회적·역사적·기술적 요인들에 의해 다큐멘터리의 가장 핵심적인 키워드인 ‘사실의 재현성’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중요한 것은 다큐멘터리가 이제 ‘사실의 재현’에만 집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기계적이고 표피적인 사실의 재현을 고집하기보다는 오히려 진실을 드러내기 위해서라면 ‘허구적 세계’나 ‘가상의 이미지’까지도 사용할 수 있다는 다각적이고도 폭넓은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다큐멘터리와 픽션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며 다큐멘터리의 정체성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다큐멘터리에는 주관이 전혀 개입하지 않았을까?

‘사실성’과 ‘허구성’, 양립할 수 없는 두 단어로 다큐멘터리를 고찰하다



다큐멘터리에서 보여주는 ‘사실의 재현’이 감독에 의해 선택된 기록, 만들어진 기록이라는 점에서 객관적인 진실을 담보할 수 없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카메라가 투명하게 보여주는 것은 환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_ 92쪽



제1부에서는 다큐멘터리의 역사를 서구 세계를 중심으로 하여 통시적으로 고찰하며, 다큐멘터리의 핵심 개념인 ‘사실의 재현성’에 대한 인식론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제1장에서는 1920년대 다큐멘터리 역사가 시작될 때 사실의 재현성은 어떤 개념이었는지 고찰했다. 세계 최초의 내러티브 다큐멘터리로 일컬어지는 로버트 플래허티의 다큐멘터리, 초기 다큐멘터리의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지는 존 그리어슨의 다큐멘터리 등을 중심으로 초기 다큐멘터리에 내재되어 있는 사실의 재현성 개념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1930년대에서 1950년대에 이르기까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의 다큐멘터리가 어떻게 발전하고, 사실의 재현성 개념이 이들 다큐멘터리에서 어떻게 확대·발전했는가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1960년대 다큐멘터리의 두 조류에 대해 고찰하며, 이들 다큐멘터리에서 사실의 재현성 개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았다. 1960년대에는 촬영 장비의 성능 향상으로 유연한 기동성을 갖게 된 제작진이 새로운 양식의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다. 이는 미국에서는 객관적인 관찰을 강조함으로써 사람들의 외적 진실을 포착하려는 ‘다이렉트 시네마(Direct Cinema)’의 경향으로, 유럽에서는 사람들의 내적 진실을 포착하려는 ‘시네마 베리테(Cinema Verite)’의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새로운 양식의 등장으로 다큐멘터리의 진실성 개념은 크게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가 갖는 의미와 한계에 대해 고찰했다.



제4장에서는 1980년대 이후 등장한 다큐멘터리에서 사실의 재현성 개념이 다큐멘터리 작가의 주관성과 충돌하며 어떻게 수정되는지를 보여주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다큐멘터리 속에 제작자의 시각이나 특정한 이데올로기가 숨어 있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드러내어, 관객들이 능동적·주체적으로 진실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성찰적 다큐멘터리’가 등장했다. 새롭게 등장한 다큐멘터리 중의 또 다른 하나는 ‘수행적 다큐멘터리’로 감독이 체계적이고 치밀한 상황을 계획하여 연출하고, 감독 스스로 그 계획을 수행하는 과정을 담아냈다. 그러한 수행적 과정을 통해 관객 스스로 진실을 구축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5장에서는 2000년대 이후 다큐멘터리가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그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다큐멘터리가 등장하는 가운데 주목해야 할 점은 ‘사실의 재현’을 기본 토대로 하는 다큐멘터리에서 ‘허구’와 결합한 다큐멘터리가 등장했다는 것이다. 모큐멘터리와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가 바로 그것이다. 즉, 다큐멘터리의 기본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사실성’과 그 대척점에 있는 ‘허구성’이 모순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다큐멘터리가 등장한 것이다.

또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다큐멘터리로 ‘웹 다큐멘터리’와 ‘VR 다큐멘터리’가 등장했다. 이와 같이 새로운 기술에 기반을 둔 새로운 유형의 다큐멘터리는 이전과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리얼리티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실의 재현성 개념은 어떻게 변화되고 확장되어가는지 고찰했다.



제2부에서는 한국의 상황에서 다큐멘터리의 생성 및 변화를 살펴보며 ‘사실의 재현성’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고찰했다. 제6장에서는 1960년대 한국 다큐멘터리가 어떤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그리고 어떤 방송 환경에서 등장했는가를 살펴보았다.



제7장에서는 다큐멘터리가 본격적으로 성행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다큐멘터리가 어떠한 변화를 거치고 있는지에 대해 장르별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소재에 따라 하위 장르가 구분되는데, 여기서는 주된 다큐멘터리 장르라고 할 수 있는 시사, 역사, 인간, 자연의 네 개 장르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제8장에서는 2000년대 이후 한국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새로운 변화들을 살펴보았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디지털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그간 영상화할 수 없어서 주제 또는 소재로 채택할 수 없었던 것들을 다큐멘터리로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새로운 다양한 장르의 다큐멘터리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9장에서는 제1부와 제2부에서 논의한 방대한 내용들을 ‘사실의 재현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정리해보았다. 다양한 유형의 다큐멘터리에 대해 역사적 변천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방대한 작업이었다. 따라서 각 시기별·장르별로 모든 다큐멘터리를 다루기보다는 대표적인 작품들을 위주로 살펴보며, 시기별·유형별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통해 ‘사실의 재현성’ 개념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노력이 다큐멘터리에 대해 좀 더 다각적인 측면에서, 다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며



제1부 다큐멘터리의 역사와 사실의 재현성

01 다큐멘터리 역사의 시작

1. 미국 로버트 플래허티의 다큐멘터리?2. 영국 존 그리어슨의 다큐멘터리?3. 러시아 지가 베르토프의 다큐멘터리?4. 1920년대 유럽의 실험적 다큐멘터리?5. 초창기 다큐멘터리에서 ‘사실의 재현성’ 개념



02 1930년대~1940년대 세계의 다큐멘터리

1. 1930년대 미국의 정책홍보 다큐멘터리?2. 1930년대 독일의 선전 다큐멘터리?3. 1940년대 영국과 미국의 전시 다큐멘터리?4. 1930~1940년대 다큐멘터리에서 ‘사실의 재현성’ 개념



03 1960년대 다큐멘터리의 두 조류

1. 미국의 다이렉트 시네마?2. 프랑스의 시네마 베리테?3. TV 다큐멘터리의 등장?4. 1960년대 다큐멘터리에서 ‘사실의 재현성’ 개념



04 1980년대 이후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표현 양식

1. 성찰적 양식?2. 수행적 양식?3. 1980년대 이후 다큐멘터리에서 ‘사실의 재현성’ 개념



05 2000년대 이후 다큐멘터리의 변화

1. 모큐멘터리의 등장?2.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3. 웹 기반의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4. VR 다큐멘터리?5. 2000년대 이후의 다큐멘터리에서 ‘사실의 재현성’ 개념



제2부 한국 다큐멘터리의 생성 및 변화

06 한국 다큐멘터리의 생성



07 19980년대 이후 한국 다큐멘터리 장르의 변화

1. 시사 다큐멘터리?2. 역사 다큐멘터리?3. 휴먼 다큐멘터리?4. 자연·환경 다큐멘터리?5.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등장과 발달



08 2000년대 이후 한국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변화

1.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새로운 다큐멘터리의 등장?2. 독립 다큐멘터리의 대중화?3. 방송 환경의 변화와 다큐멘터리?4. 21세기 한국 다큐멘터리와 사실의 재현성



09 다큐멘터리와 사실의 재현성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며



참고문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