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저자 : 김도균
출판사 : 한울아카데미
출판년 : 2011
ISBN : 9788946053793

책소개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어촌마을에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 비교>를 수정.보완한 것으로, 2007년 12월 7일에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로 인해 자연적 순환 과정과 경제.사회문화적 순환 과정이 통합되어 있는 어촌마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고가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을 밝혀보고 있다. 특히 최대 피해지역인 태안군 관내 세 개의 어촌마을을 비교연구하여 마을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사회경제적 영향과 그 원인을 분석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007년 태안 기름유출사고 그 후,
각 마을공동체는 재난을 어떻게 극복해냈을까?
재난이 공동체에 미치는 ‘사회적·경제적 영향’을 밝히다

경제적 자원의 변화는 단순히 생계수단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어업노동은 상품생산, 자급자족, 자기충족 등 다양한 이유로 수행되었지만 방제노동 등은 임금을 목적으로 하는 물질적 동기에서만 수행된다. 따라서 노동에서 오는 자기만족감이 상실되고 기존의 노동 과정에서 나타났던 호혜적 관계도 경제적 이기주의로 대체되면서 참여를 둘러싸고 주민 갈등이 발생한다.
- 본문 중

이 책은 2007년 12월 7일에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로 인해 자연적 순환 과정과 경제·사회문화적 순환 과정이 통합되어 있는 어촌마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고가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을 밝히고 있다. 특히 최대 피해지역인 태안군 관내 세 개의 어촌마을을 비교연구하여 상호의존적인 사회경제구조를 발전시켜온 마을공동체가 주민들의 의견과 행동을 더 잘 조정하여 재난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큰 갈등 없이 극복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책은 저자의 박사학위논문 [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어촌마을에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 비교]를 수정·보완한 것으로, 2007년 12월 7일에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로 인해 자연적 순환 과정과 경제·사회문화적 순환 과정이 통합되어 있는 어촌마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고가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을 밝혀보고 있다. 특히 최대 피해지역인 태안군 관내 세 개의 어촌마을을 비교연구하여 마을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사회경제적 영향과 그 원인을 분석했다.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와 관련하여 사회경제학 측면에서 분석한 단행본은 아직까지 발간되지 않았다. 특히 환경재난이 가져다주는 미시적인 경제적·사회적 영향을 탐구하여 재난에 강한 공동체의 특성을 밝히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즉, 서로 다른 사회경제구조를 지닌 마을 간 비교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마을의 미시적인 사회경제구조가 재난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어떻게 조응하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상호의존적인 사회경제구조를 발전시켜온 마을공동체가 주민들의 의견과 행동을 더 잘 조정하여 재난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큰 갈등 없이 극복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는 말
어촌마을에서 본 기름유출사고

제1장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
제2장 기름유출사고의 전개와 관련 세력들의 대응
제3장 어촌마을의 사회경제구조
제4장 기름유출사고가 어촌마을에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
제5장 사회경제구조와 재난이 어촌마을에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
제6장 재난에 강한 공동체를 위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