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저자 : 앤드류 심슨
출판사 : 지식의날개
출판년 : 2016
ISBN : 9788920019555

책소개

[아프리카 아이덴티티]는 아프리카 주요 19개국에서 국민을 결속시키고 국가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언어가 담당해온 역할을 설명하면서 식민시대 전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현대 아프리카의 언어와 정치 상황을 잘 묘사한 책이다. 그리고 각 장에서는 그 나라 언어와 정치의 역사에 대해 다루면서, 언어와 관련하여 국민과 종족, 문화의 정체성이 어떤 상호작용을 보이는지, 언어의 비중에 따라 그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등, 대부분 아프리카 출신의 학자들이 쓴 책답게 아프리카 사회의 속내를 명료하게 보여 주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말을 통해 보여주는 아프리카의 참모습

현대 아프리카에서 국민의 결속과 정체성을 구축하고 강화하기 위해 언어가 담당해온 역할을 서술하면서 식민시대를 전후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아프리카의 언어와 정치 상황을 잘 설명한 책.

▶ 주요 내용
-현대 아프리카의 다양한 언어와 정치 상황을 거시적, 언어사회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북부, 동부, 서부, 남부, 중부 등 아프리카 5개 권역 주요 19개국의 언어상황에 대한 다양한 사례가 담겨 있다.
-언어 사용 현황을 통해 각국의 정치와 사회 상황을 깊고 넓게 들여다볼 수 있다.
-아프리카 대륙에는 54개국 약 12억 명의 인구와 약 2,000개의 토착어가 있다.
-몇몇 나라를 제외하고는 국가 공용어로서 영어나 불어 등 서구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외: 이집트-아랍어; 에티오피아-암하라어; 소말리아-소말리어 등; 기타)
-19세기와 20세기에 걸친 식민시대에 식민통치를 위해 도입한 영어와 프랑스어 등 서구 언어는 1960년대 독립 이후에도 여전히 여러 나라에서 주요한 공용어로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아프리카 토착어로는 서구의 과학 문명을 지속적으로 따라가기 어렵다는 점과, 서구 언어가 종족 상으로 중립적이고 여러 종족이 섞여있는 주민을 통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영어나 불어 등 서구어가 국가 통합과 발전에 효과적인 언어로서 인정받고 있다.
-아프리카에서 영어나 프랑스어 등 서구어 구사 능력은 물질적 번영과 좋은 직업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되어 왔으며 지위상승의 도구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자녀 교육에 있어서도 아프리카 토착어보다는 공용의 서구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종족 간 의사소통을 위한 교통어로는 서구어와 아프리카어가 혼합하여 생겨난 다양한 피진어(pidgin)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주요 주제
-각 국가의 언어 분포를 이해하기 위한 역사적 배경
-주요 언어 및 교통어, 이를 사용하는 종족의 분포
-식민 시대 및 독립 이후 언어정책
-언어경합(유럽어/아랍어 vs. 토착어)과 언어지위
-다언어사용(multilingualism)
-언어 표준화와 교육 문제
-언어와 국가 정체성 문제, 국민통합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옮긴이 서문

지은이 소개

제1장 들어가기
1.1 현대 아프리카 국가의 언어와 국가 건설의 도전
1.2 식민지배 전후 아프리카의 언어 증진
1.3 언어 확산과 성장의 영역: 1960년대에서 현재까지
1.4 언어와 국가 정체성
1.5 끝맺는 말

제2장 이집트: 이집트에서 범아랍 민족주의로
2.1 개관: 용어와 그 중요성
2.2 언어와 이집트 민족주의
2.3 이집트 민족주의: 세부적 기술
2.4 이집트 민족주의에서 범아랍주의로
2.5 결론적 지적

제3장 모로코: 언어, 민족주의, 성
3.1 개관
3.2 역사적 배경
3.3 모로코의 다언어 맥락
3.4 아랍어화와 교육
3.5 민족주의와 언어 변화
3.6 성과 민족주의
3.7 결론

제4장 수단: 다수 종족어, 소수 종족어, 언어 상호작용
4.1 개관
4.2 나일 강 중류 지방의 언어 유산
4.3 현대 정치 프레임워크의 기원
4.4 일상생활과 언어
4.5 결론: 이언어 사용과 수단 토착어의 생태

제5장 세네갈: 국가 교통어의 출현
5.1 아프리카의 국가 정체성
5.2 세네갈 소개
5.3 언어 정체성과 종족 정체성
5.4 월로프어화
5.5 프랑스어권 국가?
5.6 결론

제6장 말리: 문화와 언어의 다원주의의 옹호
6.1 개관
6.2 역사적 배경
6.3 말리의 국어: 개관
6.4 밤바라어의 지배적 사용
6.5 다른 국어
6.6 아랍어
6.7 프랑스어
6.8 교육 부문의 국어
6.9 언어태도
6.10 결론

제7장 시에라리온: 크리오어와 국가 통합의 모색
7.1 서론
7.2 시에라리온의 형성
7.3 시에라리온의 언어
7.4 크리오인과 언어: 태도와 역사
7.5 크리오어: 시에라리온의 국어인가?

제8장 가나: 토착어, 영어, 신흥 국가 정체성
8.1 서론
8.2 가나의 다언어 사용 개관
8.3 영어, 통치 언어, 가나 정체성
8.4 언어정책과 교육
8.5 언어와 정체성의 경합
8.6 결론

제9장 코트디부아르: 프랑스어의 절대 우위
9.1 서론
9.2 인구
9.3 역사적 배경
9.4 사회언어학적 개요
9.5 언어정책: 프랑스어의 절대 우위
9.6 아비장 대중 프랑스어
9.7 현대 코트디부아르 사회의 프랑스어와 아프리카어
9.8 결론

제10장 나이지리아: 아프리카 대국의 종족언어적 경합
10.1 서론
10.2 나이지리아 언어 개관
10.3 식민지배와 나이지리아의 탄생
10.4 언어와 나이지리아의 발전: 1960~2003년
10.5 오늘날의 나이지리아 언어: 유형과 태도
10.6 국어 문제의 재조명

제11장 카메룬: 다언어 국가의 공식적 이언어 사용
11.1 서론
11.2 카메룬의 언어 상황 개관
11.3 다언어 사용, 국가 정체성, 언어정책
11.4 영어권의 민족주의와 언어 문제
11.5 결론

제12장 콩고민주공화국: 언어와 ‘진정한 민족주의’
12.1 개관
12.2 지리적, 역사적 배경
12.3 DRC의 언어 양상: 과거와 현재
12.4 국가 정체성
12.5 DRC 언어에 대한 태도
12.6 결론

제13장 케냐: 언어와 국가 정체성 탐색
13.1 개관
13.2 케냐의 언어
13.3 케냐의 언어: 사회언어학적 차원
13.4 스와힐리어와 국가 지위: 케냐와 탄자니아
13.5 국가 정체성의 기초로서 스와힐리어
13.6 결론

제14장 탄자니아: 국어와 공용어로서 스와힐리어의 발전
14.1 서론
14.2 스와힐리어의 확장: 식민 이전과 식민 시대
14.3 독립 무렵과 그 이후
14.4 스와힐리어와 영어
14.5 종족 언어
14.6 결론

제15장 아프리카의 뿔: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소말리아
15.1 서론
15.2 에티오피아와 1993년까지의 에리트레아
15.3 1991년 이후의 에티오피아
15.4 1993년 이후의 에리트레아
15.5 지부티
15.6 소말리아/소말릴란드

제16장 잠비아: ‘하나의 잠비아, 하나의 국가, 다양한 언어’
16.1 서론
16.2 잠비아의 언어와 언어 사용
16.3 역사적 배경
16.4 언어와 정체성을 둘러싼 오늘날의 문제
16.5 결론

제17장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 건설을 향한 험난한 여정
17.1 서론
17.2 식민 역사와 언어정책
17.3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시대와 언어정책
17.4 언어와 독립 국가의 지위: 두 가지 최종 관점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